본 연구는 고(故)정재만 전통춤 가운데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에 내재된 미적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춤사위에 내재된 사상과 춤사위 구조를 기반으로 시・공간 특성과 제반적... 본 연구는 고(故)정재만 전통춤 가운데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에 내재된 미적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춤사위에 내재된 사상과 춤사위 구조를 기반으로 시・공간 특성과 제반적 요소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정재만류 승무의 미적특징과 가치를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고(故)정재만은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로서 전통춤을 널리 알리는데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갑작스런 타계로 인해 그의 교육적, 예술적 활동과 춤에 대한 연구 자료들은 다른 예능보유자에 비해 아직 전무한 상태이다. 이는 전통춤 예술적 명맥을 유지하며 단지 과거의 가치만이 아니라 현재적, 미래적 가치로서 후학들에 의해 올바르게 전승되어야 됨이 피력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정재만류 승무의 미적특징과 우수성을 밝히고 국가무형문화재로서 보존 및 계승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두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정재만류 승무의 표현의 근본은 한국인 정서가 함축된 동양사상과 근본원리를 바탕으로 본연의 아름다움 그 자체에 내제되어 있다. 이에 정재만류 승무의 표현기법을 통해 살펴 본 독특한 미적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계승성이 담긴 정재만 춤의 아름다움은 한성준-한영숙-정재만으로 스승의 벽사 호를 물려받아 지속 전승되어 문화재적 계보형성과 예술적 명맥에 이은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춤 교육의 실천성에 있다. 이는 스승과 제자 사이의 예(禮)와 춤 정신을 되새기며 인격형성을 도모하는 가치규범으로서 인격의 수양을 강조하였다. 둘째, ‘담박미(憺泊美)’는 정재만류 승무의 춤에 내재되어 있는 표현의 근본인 화려한 것을 배제하고 본질적인 것만을 나타내는 단순함과 간결함 속에서 동양의 담박미와 서양의 미니멀리즘과 같은 미적표현양식으로 살펴 볼 수 있었다. 셋째, ‘공간미(空間美)’는 한성준-한영숙에 의해 무대양식화와 무대예술화로 완벽한 형식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점차 무대예술 확대에 따른 무대예술공연으로서 현시대에 맞게끔 무대공간의 구성미를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이는 중용(中庸)과 여백(餘白)의 표현적 공간이 두드러진 미적구조로 질서정연한 무대공간구성과 춤의 생동감을 더하였다. 또한 무대화된 예술적인 형태로 전통춤의 군무화 공연과 현시대에 맞는 무대예술로서 무대 공간 미적구조를 확장시켰다. 넷째, ‘절제미(節制美)’는 절제의 표현을 통한 미학으로서 자신의 내재된 욕망을 분출하는 것이 아닌 안으로 녹여내는 과정으로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는 절제된 춤의 아름다움과 품격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정재만류 승무의 독특한 미적가치로는 인격미, 예의 미, 담박미, 공간미, 절제미가 내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정재만류 승무의 예술적, 문화적, 역사적, 교육적 가치의 학문적 정립이 재인식되어야 할 것이며 승무의 미적가치를 통한 전통춤의 대중화 탐구와 문화재적 보존 및 발전, 보급에 중요성이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sthetic value inherent in Seungmu,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o. 27, among the late JeongJaeman line traditional dances, and it is to discover the esthetic features and values of JeongJaeman line Seungmu by...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sthetic value inherent in Seungmu,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o. 27, among the late JeongJaeman line traditional dances, and it is to discover the esthetic features and values of JeongJaeman line Seungmu by analyzing time and space composition and other general factors based on the thoughts and dance structures in the moving performance. Though the traditional dance of Jeongjaeman left the obvious achievements, due to this sudden death, the materials about his education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his dancing don’t exist yet compared to other artists. In this sense, there is a reason to keep his artistic achievement in existence and to convey the present and future values of our traditional dance to the followers correctly.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it finds out the esthetic features and excellence of the JeongJaeman line Seungmu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make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eservatio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his value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basis of JeongJaeman line Seungmu is inherent in its own beauty based on Oriental thought and fundamental principle implied by Korean emotion. The unique esthetic features from the expression of JeongJaeman line Seungmu are as follows. First, the beauty of JeongJaeman dances including the meaning of historical succession is the practice of dance education based on Confucian thought which has been inherited with his master’s penname of Byuksa in the line of Han Sung-jun – Han Young-sook – Jeong Jae-man and has been contributed to the cultural genealogy and artistic meaning formation. This was the value norm which recalls the spirit of dance between masters and disciples and shapes the personality, and it emphasized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Second, in terms of the ‘beauty of simplicity’, it is the base of the expression of JeongJaeman line Seungmu and it excludes the extravagance and represents the essential simplicity to show the Oriental simplicity and the Western minimalism at the same time. Third, in terms of ‘beauty of space’, it expands the space beauty of stage fit for the current time as the stage ar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stage art since it has been equipped with the perfect form by Han Sung-jun and Han Young-sook’s stage stylization and stage art. And it is the esthetic space emphasizing the expressive space of moderation and blank and the orderly layout of stage and the dynamic dance are added. And also, as the artistic form of stage, the esthetic structure of stage is expanded with the traditional group dance and the stage art for the current times. Fourth, the ‘beauty of moderation’ is the aesthetics through the expression of moderation, and it shows the special beauty representing the elegant Korean atmosphere rather than erupting the inherent desire. Through this research, as for the unique esthetic value of JeongJaeman line Seungmu, it can be said that the beauty of personality, politeness, simplicity, space and moderation is inherent. Therefore, the artistic, cultural,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s of JeongJaeman line Seungmu should be reestablished through this research, an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dance and preserving and developing the cultural assets needs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esthetic value of Seungmu.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