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기업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근로자가 보이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배제주의적 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 본 연구는 다문화 기업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근로자가 보이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배제주의적 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국내외에서 수행되었던 기존의 연구자료들을 탐색하고 정리하였다. 이론적인 탐색과정을 기반으로 2가지의 종속변수에 7가지의 독립변수를 중복 적용하여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배제주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가설 14가지를 세웠다. 가설검증을 위해 기존 문헌을 기반으로 구조화된 자기응답식 설문도구를 개발하였고, 김포시에 소재하고 있는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한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종속변수 중 하나인 업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수용의 한계, 합법 외국인 노동자 수용성, 불법 외국인 노동자 거부감, 사회경제적거부감이었다. 합법⋅불법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성이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거부감이 적을수록 업무몰입의 정도가 증가하였는데, 다문화사회에 대한 수용의 한계가 증가할수록 업무몰입은 더 어려워지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조직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수용의 한계, 합법 외국인 노동자 수용성, 사회경제적 거부감이었다. 합법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성이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거부감이 적을수록 조직협력의 정도가 증가하였는데, 업무몰입과 마찬가지로 다문화사회에 대한 수용의 한계가 증가할수록 조직협력은 더 어려워지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조직몰입도를 이루는 업무몰입과 조직협력은 성별이나 거주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업무몰입의 경우에는 사업장과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외국인 근로자와의 업무 과정에서 업무몰입도가 높았고, 조직협력의 경우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외국인 근로자와의 협력 정도가 더 높았다. 이 두 통제변수는 독립변수들만큼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향후에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방안을 개발할 때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 of exclusionary attitude toward foreign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workers in multicultural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ha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 of exclusionary attitude toward foreign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workers in multicultural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have searched and organized the existing research data and based on the theoretical exploration process. We applied 14 independent variables to the two dependent variables, and identified 14 hypotheses that clarify the effect of exclusionary attitude toward foreign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e developed a structured self - answer questionnaire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3 weeks from August 8, 2016 to August 26, 2016, for Korean workers working with foreign workers in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ies in Kimpo City and a total of 22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out of 256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rect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 ①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ociety ② acceptance of legitimate foreign workers ③ resistance of illegal foreign workers ④ social and economic rejection, which is one of the dependent variables, however The higher the acceptability of legal and illegal foreign workers, the lower the socio-economic rejection, the greater the degree of work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①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ociety, ② acceptance of legitimate foreign workers, and ③ socioeconomic rejection, on organizational cooper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higher the acceptability of legitimate foreign workers,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operation increased as the socioeconomic rejection decreased. As the occupa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creased, the organizational cooperation became more difficult. Third,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hesion, which constitute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 according to gender and residence. In the case of work commitment, the more the Korean workers living near the work place, the higher the work commitment in the work process with the foreign worker. Fourth,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ooperation, men are more likely to cooperate with foreign workers than women This seems to be a phenomenon in which Korean male workers are more likely to have more business contacts with foreign workers than female workers. Therefore, these two control variables are as importan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developing measur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futur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