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pporting policy for hanok (a traditional Korean house) in Seoul has been greatly expanded. Recently, the policy limited to the registered hanok in the area designated as a hanok area is expanding to the entire city of Seoul. In this process, the... The supporting policy for hanok (a traditional Korean house) in Seoul has been greatly expanded. Recently, the policy limited to the registered hanok in the area designated as a hanok area is expanding to the entire city of Seoul. In this process, the Seoul government extended the designation of hanok concentration district with three increased area in 2016, and highlights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hanok as a result. The modern hanok residential area in 166 Ikseon-dong has been designated as a hanok concentration area according to this social trend and is currently establishing a district unit plan as an expected preservation district in 2016. However, the hanok area of Ikseon-dong which has been more than 80 year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hanok village was introduced through broadcast media, and then has become a big issue and recently begun to undergo rapid changes. Over sixty residential houses, they have been changed to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cafes, workshops, and restaurants.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hanok has been preserved in the process. This physical transformation is done without any legal prescription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anok, and the hanok’s conservation value has not been also clarified. In this study, the conservation value of Ikseon-dong is analyzed from the following three points: ① roads and lots, ② persons related to Ikseon-dong, ③ the type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building plans and roofs. This thesis notices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modern hanok district in Ikseon-dong through the division of roads and lots, and, on the basis of old land registers disused, it reconstructs the foundation procedure of Ikseon-dong hanok area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this process, the social activities in the 1920s and 1930s of Park Young-Hyo and Jeong Se-Kwon identified as owners are investigated and their great effects on the formation of Ikseon-dong housing area.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kseon-dong hanok and then organizes the influence on the modern hanok district that has been formed since 1936. Through this process, the value of residence in Ikseon-dong hanok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views. The first is that the Ikseon-dong hanok area is the only “planned residence” that was built before 1936. All of hanok district formed before the enactment of the 1936 Keijo City Planning naturally occurred adapting the existing road and lot system. Of course, In Bukchon and Jongno areas, the large lot developments like Ikseon-dong were done, but, unlike Ikseon-dong, their applied scope is limited to the division of lots. The second is that “the only settlement where the 1920s Keijo City Planning was realized” is 166 Ikseon-dong. In the 1920s, the Keijo Urban Planning Research Group will present three alternative plans for the Keijo City Planning. However, the suggested proposals could not be realized and just remain as plans. Nonetheless, the road proposed in the second plan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road system of the Ikseon-dong district. In addition, the Keijo Urban Planning Research Group which presented these proposals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Ikseon-dong in social and political terms. Finally, the value of the third residence of the Ikseon-dong hanok district is that it played an exclusive role as “a sample of the modern hanok residential area” constructed after 1936. The “assembled C-shaped” composition mainly in Ikseon-dong appears in different urban projects afterwards. The same house type occur in the house plans of Anam-dong and Bomun-dong in Donam district as the first residential area developed due to the land compartmentalization rearrangement project in 1937. In the case of Yongdu-dong built much later, the house plan of the more developed structure appears on the basis of this “assembled C-shaped” configuration. To conclude, this study will provide a wide view of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process of modern hanok district in Ikseon-dong. The value of Ikseon-dong interpreted through this analysis will be a standard for preserving the Ikseon-dong hanok district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comparative study in determining the principle of conservation of hanok in Ikseon-dong and studying the relevant field of modern hanok districts in the future.
서울시 한옥지원정책이 대폭 넓어졌다. 종전에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된 곳의 등록한옥에만 국한 되어있던 지원정책이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2016년에만 한... 서울시 한옥지원정책이 대폭 넓어졌다. 종전에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된 곳의 등록한옥에만 국한 되어있던 지원정책이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2016년에만 한옥밀집지역을 3곳 더 늘려서 한옥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다. 익선동 166번지의 근대한옥주거지는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16년 현재 예정된 보존지구로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하지만 최근 매체를 통해 알려진 익선동의 한옥주거지가 큰 이슈가 되면서 최근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기 시작했다. 형성된 지 약 88년이 된 64채의 주거한옥들이 카페, 공방, 그리고 레스토랑 등의 상업시설로 기능이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보존되어 오던 근대한옥의 원형에 물리적인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런 물리적 변형은 한옥 보존을 위한 법적인 제제가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익선동 한옥의 보존적 가치 또한 규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익선동 한옥주거지의 보존적 가치를 ① 도로와 필지, ② 익선동과 관련된 인물, ③ 건축 평면구성과 지붕의 유형, 이렇게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보존적 가치를 도출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익선동 근대한옥주거지의 형성배경과 과정을 도로와 필지의 분할을 통해 분석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소유주로 확인된 박영효(朴泳孝)와 정세권(鄭世權)의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사회적 활동을 알아보고, 이들이 익선동 한옥주거지 형성에 미친 영향과 그 관련성을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익선동 한옥의 건축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1936년 이후 형성되는 근대한옥에 미친 영향을 정리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 분석한 익선동 한옥주거지의 가치를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익선동 한옥주거지는 1936년 이전에 형성된 유일한 “계획 주거지”라는 것이다. 1936년 경성시가지계획령의 시행 이전에 형성된 한옥주거지는 기존의 도로와 필지의 체계를 따르는 “자연발생적 주거지”들이다. 북촌과 종로 일대에서 익선동과 같은 대형필지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그 범위는 필지 분할에서 그쳤다. 두 번째는“1920년대의 경성도시계획이 실현된 유일한 주거지”가 익선동 166번지라는 것이다. 1920년대에 활동하던 경성도시계획연구회에서는 경성도시계획에 대한 3가지 안(案)을 발표한다. 이 계획안들은 대부분 실현되지 못하고 도상연습으로만 남게 된다. 하지만 제2차안에서 계획된 도로와 개발 후 익선동 166번지의 도로체계가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 안(案)들을 제시한 경성도시계획연구회와 익선동이 사회적,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익선동 한옥주거지는 1920년대에 논의되던 경성도시계획안이 일부 실험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세 번째, 익선동 한옥주거지는 1936년 이후 형성되는 “근대한옥주거지의 표본”으로서 역할을 했다. 익선동에서 주로 나타나는 “일체형ㄷ자”평면구성은 1937년 토지구획정리로 인해 개발되는 첫 번째 지구인, 돈암지구의 안암동과 보문동 등에서 일맥상통하게 나타난다. 이후에 형성되는 용두동 등에서는 이“일체형ㄷ자”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발전된 평면구성이 나타난다. 익선동 근대한옥주거지의 형성배경과 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분석한 익선동의 가치는 향후 익선동 한옥을 포함하는 근대한옥주거지를 보존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어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익선동 한옥 보존을 위한 방향설정과 근대한옥주거지와 관련된 연구의 비교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