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2000년도를 시작으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고령화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고령인구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있... 우리나라는 2000년도를 시작으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고령화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고령인구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수요자인 고령인구의 연령 폭이 너무 넓은 것에 따라서 효율성과 형평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고령인구라 하더라도 연령대의 구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인구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도시 내 여가활동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만65세 이상 고령인구를 대상으로 연령대를 분류하고, 고령인구의 통행목적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가·쇼핑통행에 있어서 연령대별 통행목적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토지이용특성과 시설특성 관련 변수에서 65세-69세 집단의 통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여가·쇼핑 종사자 수와 유동인구밀도가 양(/)의 영향을 나타냈고, 70-74세 집단은 노인복지시설과 유동인구밀도 변수가 양(/)의 영향을, 75세 이상 집단은 유동인구밀도 변수가 음(-)의 영향을 그리고 더미변수인 문화·역사공원여부가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목적지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고령인구 연령대별 비통근통행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인구의 연령대에 따라 목적지의 토지이용특성이 비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인구의 서비스나 시설에 대한 요구치가 연령대에 따라 다르기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인구의 도시 내 활동의 증가와 함께 통행범위가 넓어짐에 따라서 고령인구관련 시설이나 서비스제공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목적지가 갖고 있는 특성이 도심지역과 근린생활권지역 등으로 분류되어서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특성들이 고령인구 연령대별 비통근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령인구 연령대별 목적지는 서울시 공간구조 위계에 따라서 나타났다. 65세-69세 집단과 70-74세 고령인구집단은 주로 도심지역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유동인구밀도, 여가·쇼핑종사자 수, 체육·문화·역사 공원여부, 주차장 이용대수)에서 영향요인을, 75세 이상 고령인구는 이 외의 지구중심지 지역에서 나타나는 변수(여가·복지종사자 수, 한의원, 자연·도시공원여부 등)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령인구에 대한 교통복지정책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단순히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를 대상으로 정책수립을 하기 보다는 개인이 갖고 있는 특성 중 연령에 따라 목적지가 상이하다는 것을 고려하여서 연령대에 따른 이동지원 정책에 대한 수립이 필요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새로운 교통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The previous studies on travel pattern of elderly population have not been conducted with classification of them by age group. In this study, we classified elderly population into three age group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 The previous studies on travel pattern of elderly population have not been conducted with classification of them by age group. In this study, we classified elderly population into three age group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tination districts of Seoul on non-commuting travel of elderly population by the age group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a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tination were different for each elderly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 finding, we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elderly population have different travel pattern by the age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elderly population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ir activities and suitable transport policies in terms of welfare, differently for each age group. Second, the non-commuting travel of elderly population is mainly affected by the land-use characteristics of destination. Furthermore, the travel pattern was different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local government should plan and manage the facilities and the services which are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elderly population, especially, by age group.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