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における外來語の長母音に關する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일본어의 장모음 음소를 하나의 박으로 인정하는 장모음설을 따 르기로 하고, 외래어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의 발음과 표기에 있어서의 볓 가지 규칙을 세워보기로 하였다. 연...

본고는 일본어의 장모음 음소를 하나의 박으로 인정하는 장모음설을 따
르기로 하고, 외래어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의 발음과 표기에 있어서의 볓
가지 규칙을 세워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西尾實, 岩淵悅太郞, 水谷靜夫가 편집한 『岩波國語辭典』
(1963)에서 영어를 원어로 하는 외래어 어휘 903語를 추출하여, アㆍイㆍウㆍ
エㆍオ 각 단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어중ㆍ어말위치로 그 분포에 따라 분
류하였다.
이들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들이 그 원어의 발음과 원어의 철자에서 어
떻게 일본어로 나타나는가에 따라 규칙을 세워보니 다음과 같았다.
1. ア段長母音은, 語中位置인 경우,「ar」,「er」「u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r-],[-a:r-]이, 語末位置인 경우,「er」,「or」로 표기된 原語
의 發音 [-∂r]이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표기면에서는, 語中位置와 語
末位置모두,「母音/r」이 長母音이되었다.
2. イ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語中位置인 경
우,「ea」,「ee」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이, 語末位置인 경우,「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이 되었다.
3. ウ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
우,「u」,「oo」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j)u:-]이, 語末位置인 경우,
「ew」로 표기된 原語의 발음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4. エ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ei]가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우,
「a」,「ai」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ei-]가, 語末位置인 경우,「a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ei]가 長母音이 되었다.
5. オ段長母音는, 語中位置인 경우「o」,「o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ou], [⊃:r], [⊃:]가, 語末位置인 경우 「o」,「ow」로 표기된 原語의 發
音 [ou]가 長母音이 되었다.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장모음에 대한 변별능력이 대체로 낮게 나타나는
큰 이유는 모국어의 간섭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장모음과 단모음에 대하
여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최소대립
어(minimal pair)등을 통한 충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음지도에
유의해야한다고 생각한다.

In the present study, I have attempted to summarize how the Japanese long vowels are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foreign pronunciation and to investigate its rules when they are adopted in Japanese. The study is focused on English origin nated ...

In the present study, I have attempted to summarize how the
Japanese long vowels are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foreign
pronunciation and to investigate its rules when they are adopted in
Japanese.
The study is focused on English origin nated vocabularies. I have
picked up 903 words which contain either in their medial position or in
their final position. And then I have made some classification' s
according to A-line, I-line, U-line, E-line and O-line.
In chapter 2, the overall review on the Japanese. In chapter 2, the
general review on the Long vowel theorys of contemporary Japanese. I
have adopted 'Kindaiich theory' which positively recognize the Long
vowel as an independent poneme.
In chapter 3, is the summary of my investigation. The materials I
gave used in my investigation are from the dictionary of 'Iwanami
Kokugo Ziden(1963)'.
1. The long vowel A-line, is appeared in medial position when the
original words contain '-ar-', '-er-' , '-u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a:r-]. And the final position long
vowel A-line come from '-er' and '-o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When I examine the long vowel rules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 system, it corresponds to 'vowel
/ r'.
2. The long vowel I-line of Japanese, shows the systematic
correspondence with [i:]. And 'ee', 'ea', 'y' of original
spelling have appeared as long vowels in Japanese foreign
words.
3. The long vowel U-line shows the correspondence with 'u', '
oo' and 'ew' of original spelling. And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j)u].
4. The long vowel E-line come from [eil. It corresponds to the
transcription of 'a' , 'ai' and 'ay' of the original words.
5. The long vowel O-line come from [ou], [⊃:r], [⊃:]. And it is the
version of 'o', 'or', 'o' and 'ow'.
In chapter 4, I gave made a few suggestions on some problems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One of the main difference of Japanese language from Korean lies on
its phonological system. Korean learners are apt to neglect the long
vowel partly because our contemporary transcription does not show
long vowel and therefore one cannot differentiate the long vowels and
short vowels at least on its transcrip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Japanese language teachers would plan a special drill program on this.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