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표적인 사전에 수록된 ‘치다’와 중국어 ‘打’의 뜻풀이 및 용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의미·통사론적 측면에서의 대조 연구에 있다. 의미론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표적인 사전에 수록된 ‘치다’와 중국어 ‘打’의 뜻풀이 및 용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의미·통사론적 측면에서의 대조 연구에 있다. 의미론적 측면에서는 의미적 특성을 탐구하고, 통사론적 측면에서는 통사적 구조특성, 통사적 기능, 통사적 결합특성을 탐구했다. 주로 대조언어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어 ‘치다’와 중국어 ‘打’의 의미·통사론적 특성을 대조했다. 사전에 나와 있는 ‘치다’와 ‘打’의 의미항들을 정리하여 종류대로 귀납했다. 다른 논문들은 사전들에 나와 있는 ‘치다’의 모든 표제어를 가지고 ‘打’와 대조 연구를 했는데 ‘치다’의 표제어들 중에 ‘打’와 상관성이 없는 의미항들이 존재하므로 본문에서 사전에 나와 있는 ‘치다’의 표제어를 선별하여 ‘打’와 대조연구했다. 연구대상은 한국어 사전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 큰 사전』, 『연세한국어사전』이고 모두 49개의 의미항을 선별하였다. 중국어 사전은『現代漢語詞典(第五版』,『現代漢語規範詞典』,『漢語大字典』이고 모두 39개의 의미항을 선별하였다. 3장의 연구대상은 사전, 신문, 잡지, 학술자료에 수집된 ‘치다’와 ‘打’의 각각 200개의 예문이다. 제1장은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대하여 기술했으며 제2장은 의미론적 측면에서 ‘치다’와 ‘打’의 사전적 의미를 대조했다. 우선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치다’와 ‘打’의 사전적 의미를 정리하고 비교를 한 다음에 사전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구체적인 예문을 통해 각각의 문장 속에서 ‘치다’와 ‘打’가 가지고 있는 의미항 분석을 토대로 각각 어떻게 의미적 특성이 되어 있는지, 의미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은 통사론적 측면에서 문장의 형식, 문장 성분, 문장 결합에 대하여 명사가 동원으로서 어떤 제약을 받는가, 어떤 범위 내에서 분포되는가를 탐구하였다. 제4장은 한국어 ‘치다’와 중국어 ‘打’를 대조 분석하고 이들의 의미·통사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개괄하였다. 한국어 ‘치다’는 『조선어 빈도수 사전』에 수록된 종합사용빈도수 109만 6856개의 단어 중에서 86번째를 차지하고 중국어 ‘打’는 『现代汉语频率词典』에서 나온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여 개의 단어 중에서 94위를 차지하는데 한국어 ‘치다’와 중국어 ‘打’는 각자 어휘 계통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많이 쓰이는 기초적인 동사이다. 하지만 두 단어는 기본의미에서 공통점이 있는 동시에 차이점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Korean 'chida' and Chinese 'da’ listed in the representative Dictionary of Korean and Chinese, in contrast to study in semantics and morphology. In terms of semantic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Korean 'chida' and Chinese 'da’ listed in the representative Dictionary of Korean and Chinese, in contrast to study in semantics and morphology. In terms of semantics meaning and exploration in characteristics, the syntactic aspects explored the syntactic structure characteristics, syntactic features, syntactic binding properties. Mainly on the basis of linguistic theory, it was in a contrasting meaning, syntactic properties of the Korean 'chida' and Chinese 'da’. Though other s studied all the headings of 'chida' that are listed in the dictionary there are some meanings that have no interrelationship with Chinese 'da’ among of the meanings of Korean 'chida'. So, I sorted the meanings of Korean 'chida' to study with Chinese 'da’. The study object is that 49 pieces of meanings about Korean 'chida' in Korean dictionaries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 큰 사전』, 『연세한국어사전』and 39 pieces of meanings about Chinese 'da’ in Chinese dictionaries 『現代漢語詞典(第五版』,『現代漢語規範詞典』,『漢語大字典』. 200 examples of 'chida' and 'da’ in chapter 3 of the study are gathering from newss, magazines and scholarly articles. The first chapter studied the research purpose and necessity, research scope and methods, previous studies. Second chapter studied the dictionary meaning of 'chida' and 'da’ on semantic terms. First, getting organized the dictionary meaning of which was listed on the dictionary 'chida' and 'da’ presen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mparison to the dictionary meaning then. And through specific examples that are listed in advance each how is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how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emantic properties between two words. Chapter 3 studied sentences form, sentence components, combination in terms of morphology. And noun which has the ability to mobilize having what kind of restriction and what is the scope of the distribution. Chapter 4 analyzes contrast on the Korean 'chida' and Chinese 'da’ which outlined their meanings syntac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Korean 'chida' takes up the 86th place of the dictionary『조선어 빈도수 사전』which has the 109,6856 words totally. And Chinese 'da’ takes up the 94th place of the dictionary 『现代汉语频率词典』. Korean 'chida' and Chinese 'da’ each occupie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e vocabulary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words.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