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발표 담화에서의 합쇼체와 해요체 선택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로 발표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합쇼체와 해요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1970년대 이후 화용 연구가 활발해짐과 동...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로 발표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합쇼체와 해요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1970년대 이후 화용 연구가 활발해짐과 동시에 한국어 경어법에서의 등급 전환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다. 그러나 주로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경어법 내에서의 연구였으며, 특히 동일 청자를 대상으로 한 동일 담화 유형 내에 존재하는 화용적 맥락에 따라 합쇼체와 해요체가 어떻게 선택되고 전환되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한국어 발표 담화에 대한 연구는 발표 담화의 구조 이해 및 내용 생성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경어체 선택과 관련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화자는 특별한 학습이 없이도 발표 담화에서 합쇼체와 해요체를 적절히 교체·선택하여 사용하지만, 이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려운 부분이다.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와 같이 합쇼체와 해요체는 단순히 격식성 여부를 나타내는 표현이 아니다. 이를 잘못 사용하면 화자의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성품과 신뢰도에까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가 전달 내용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평가 절하되지 않도록 보다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 대학생과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표 담화를 예비 분석 자료로 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의 발표 담화에서 고려되는 합쇼체·해요체 선택 요인을 추출하였고, 추론 결과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198명의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8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담화수용성판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는 발표 담화의 구조를 나타내는 표지·전형적 고정 표현 등에서는 합쇼체의 굳어진 표현을 사용하였고,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거나 청자에 대한 판단이나 평가를 포함하는 등 청자와의 관계가 긴밀한 내용·중심적 내용·객관적 내용 등에서는 합쇼체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반면에 부수적 내용·주관적 내용(주로 느낌, 분위기 환기를 위한 가벼운 사설 및 농담 등)·청자와의 대화 장면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순서교대 맥락 등에서는 해요체가 수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 발표 담화에서의 경어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장 교사들에게는 발표 담화에서의 경어체 사용 적절성에 관한 평가의 참조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for successful oral presentations for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In oral presentations, a relationship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is one of the successful factors, which is strongly influenced and deter...

This study is designed for successful oral presentations for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In oral presentations, a relationship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is one of the successful factors, which is strongly influenced and determined by the deferential style of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and analyzing which style among ‘hapsho’ and ‘haeyo’ Korean native spea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chose in their presentation, this study explores to examine the various contexts in which Korean language users employ ‘hapsho’ or ‘haeyo’ styles.
For a preliminary research, I collected the factors in choosing the deferential style wh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highly proficient speakers of Korean language) make their presentations to native Korean language listeners. Based on this preliminary result, I conducted a survey to 198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arried out the Discourse Acceptability Judgment Test to 8 experts an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llowing are our findings: Korean native speakers choose the deferential styles by taking relatively various factors into consideration, nam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their discourse (main ideas, additional information, core information, etc.), the features of representation of the discourse (discourse makers, etc.) and the speakers’ statues (gender, proficiency, et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s (information status, and the burden of listeners).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as non-native Korean speakers, however, the deferential styles are decided by the relatively simple factors such as the turn-taking.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way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o consider when they assess Korean language speaking proficiency to learners. In addition, it will help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s in using the different deferential styles, which would enhance the linguistic ability not only in their presentation but also in their everyday us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