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문장의 다른 성분들과 맺고 있는 의미관계가 각 단어마다 다르며, 구문적 측면에서 논항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명사에 비해 이해나 산출이 어렵다고 한다.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는 기...
동사는 문장의 다른 성분들과 맺고 있는 의미관계가 각 단어마다 다르며, 구문적 측면에서 논항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명사에 비해 이해나 산출이 어렵다고 한다.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동사가 가지는 필수 성분의 수와 관련된 동사의 자릿수를 결정하는 것에서부터 각각의 필수 성분이 갖는 의미적 특성에 대한 차원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피동문의 경우, 영어권의 by-phrase에 해당하는 명사구에 한국어 격조사가 첨가되어 활용되기 때문에, 주어의 위치에 있던 명사구가 부사구의 형태로 전환되면서 실어증 환자의 이해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가 동사 논항 수에 따른 이해와 산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논항 수 및 문장유형과 어순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문법성 판단 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브로카실어증 환자 남자 6명과 여자 6명을 포함한 총 12명을 대상으로 필수논항 수와 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따른 1항 비능격동사, 1항 비대격동사, 2항 동사, 3항 동사로 구분한 이해 및 산출과제와 문장유형(능동, 피/사동)과 어순구조(표준형/비표준형)의 문법 기능을 조정한 문법성 판단 과제를 실시하여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동사 이해 과제에 비해 산출 과제에서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으며, 3항 동사의 산출과 2항 동사의 이해에서 가장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둘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문장유형과 어순구조에 상관없이 2, 3항 동사에 비해 1항 동사의 문법성 판단을 더 쉽게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처리에 논항구조가 영향을 미치며, 한국어에서 동사의 통사적·의미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조적으로는 피동문의 어순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영어권과 동일하지만, 문장 구성성분의 생략과 첨가가 자유로워 영어권과 달리 결과가 일관되지 않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처리에 있어 단일 가설보다는 통사적 결손과 뇌 처리과정의 제한성을 함께 고려해야 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 내에서 언어능력의 차이에 따른 하위 집단을 좀 더 세분화하여 논항구조와 어순, 문장 유형이 변별적으로 조정된 구문의 이해능력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Verb is semantically relat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sentence differently per each word, which requires argument structure in the syntactic aspect, accordingly, comprehension or production is difficult compared to noun. Research on argument struc...
Verb is semantically relat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sentence differently per each word, which requires argument structure in the syntactic aspect, accordingly, comprehension or production is difficult compared to noun. Research on argument structure should basically consider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verb related to the number of essential component that the verb has as well as the dimension of semantic characteristic that each essential component has. Also, in case of passive sentences, since Korean case particle is added to the noun phrase that belongs to English by-phrase and uti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 degree of aphasic's comprehension changes as the noun phrase which was located in the subject is changed to the shape of adverb phra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ere's any difference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Broca's aphasic according to the number of verb argument, and the ability of grammatical judgment that appeared along with number of argument, sentence types, and word order structure.
This study measured accuracy by conducting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 that was divided into the number of essential argument structure, 1-place unaccusative verbs along with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 1-place unergative verbs, 2-place verbs, 3-place verbs, and structure type (active/passive) and grammatical judgment project that adjusted the grammatical function of word order structure (canonical/non-canonica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roca's aphasia patients showed lower accuracy rates in production task compared to verb comprehension task, while showed lowest accuracy rates in 3-place verbs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2-place verbs. Second, Broca's aphasia patients could more easily perform grammatical judgment in 1-place verbs compared to 2, 3-place verbs, regardless of sentence type and word order structure. This result shows that argument structure could influence verb processing of Broca's aphasic, and difference appeared in Korean along with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verbs. Also,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it is the same as English in respect that word order change is possible on passive sentence structure, however there's a tendency that the result is not consistent differently from English, since the omission and addition of sentence component are free.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ability of the sentence which is distinctively adjusted with argument structure, word order, and sentence type more in detail by more minutely dividing the sub groups along with difference in linguistic ability of Broca's aphasic in future research, considering both the syntactic defect and limitation of brain processing process rather than single hypothesis in respect of verb processing of Broca's aphasic.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