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味覺詞 對照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t i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aste words. This constructs the syntactic information and semantic information of Korean taste words {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 and Chinese taste words {甛(甜)/ 苦/ 辣/ 酸/ 鹹(...

It i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aste words. This constructs the syntactic information and semantic information of Korean taste words {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 and Chinese taste words {甛(甜)/ 苦/ 辣/ 酸/ 鹹(咸)}, and makes further contrastive analysis for them.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is is as follows.
Chapter 1 elaborates the object,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conduct a contrastive analysis of syntactic information between Korean taste words and Chinese taste words. Second, conduct a contrastive analysis of semantic information between Korean taste words and Chinese taste words. Third, to provide learners with useful information of taste words. Five taste words, sweet, bitter, spicy, sour and salty, were studied comparatively between Korean and Chinese taste words.
Through the collation and analysis provided by corpus, this summed up the condition element and following elements types, which connects the Korean and Chinese five taste words. The above contents build up the taste syntactic information.
While for taste semantic information construction, first conduct a contrastive analysis after a detailed finishing of taste semantic provided by each comprehensive dictionaries, then find out the co-occurrence words with Korean/Chinese taste words, and divide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Finally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contrastive analysis of the words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categories. Namely,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aste words through co-occurrence.
Chapter 2 discusses the previous research of Korean/ Chinese taste words. This chapter mainly solves two problems: First, select issues of study objects. Second, discuss the previous research of two countries tastes words in terms of syntactic information and semantic information, which elaborates in three parts: research on Korean taste words, Chinese taste words and Korean/Chinese taste words comparative research.
Chapter 3 summarizes the various types of condition elements and following elements connected with {달다/ 甛(甜)} from the corpus, and then conduct the detailed analysis. Then based on each appearance ratio, contrast the syntactic information for {달다/ 甛(甜)}. Identify the taste words semantic information deficiency provided by the dictionaries after careful collation and comparison analysi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y,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words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categories after finding co-occurrence words with Korean/Chinese tastes words provided by corpus. Finally proposed tastes words meaning items which worth newly added, then cited examples and elaborates.
Chapter 4,韩语论文范文, 5, 6 and 7 conducts the comparison analysis in the same way for {쓰다/ 苦}, {맵다/ 辣}, {시다/ 酸} and {짜다/ 鹹(咸)}.
Chapter 8 summarizes the comparison results of five Korean and Chinese taste words, in order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Korean and Chinese learners.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미각어 {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와 중국어 미각어 {甛(甜)}, {苦}, {辣}, {酸}, {鹹(咸)}의 통사정보 및 의미정보를 구축하여 대조 분석한다. 1장 서론에서는 이...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미각어 {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와 중국어 미각어 {甛(甜)}, {苦}, {辣}, {酸}, {鹹(咸)}의 통사정보 및 의미정보를 구축하여 대조 분석한다.
1장 서론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미각어와 중국어 미각어의 통사정보를 대조 분석한다. 둘째, 한·중 미각어의 의미정보를 대조 분석하여 제시한다. 셋째, 학습자에게 유용한 미각어 정보를 제시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미각어 {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와 중국어 미각어 {甛(甜)(달다)/ 苦(쓰다)/ 辣(맵다)/ 酸(시다)/ 鹹(咸)(짜다)}의 다섯 가지 미각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해 논의한다. 미각어 연구 대상 선정에 관한 문제를 검토한 후, 미각어 연구가 의미와 통사 두 가지 측면에서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예컨대 한국에서의 미각어 연구, 중국에서의 미각어 연구, 그리고 한ㆍ중 미각어의 대조 연구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한다.
3장에서는 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달다}와 {甛(甜)}의 선행요소 및 후행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통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말뭉치 자료를 통해 다섯 가지 미각어의 선·후행요소의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에 따른 통사 범주의 사용 비율을 대조 분석한다.
통사정보를 구축한 후에는 의미정보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사전에서 제시하는 의미정보를 정리·대조 분석하는 동시에 말뭉치 자료를 통해 다섯 가지 미각어와 함께 쓰이는 어휘를 추출하여 범주화한 후 이와 같은 범주에 속한 어휘의 특징에 따라 의미 대조 분석을 한다. 이를 통하여 의미 규명이 가능한 의미항목을 제시하고 기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4장, 5장, 6장, 7장에서는 미각어 {쓰다/ 苦}, {맵다/ 辣}, {시다/ 酸}, {짜다/ 鹹(咸)}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한다.
8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논의한 결과와 함께 한국어교육과 중국어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중 미각어 대조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