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homonymy and polysemy of 'Nagada', a Korean prototype moving verb. The 'Nagada', a representative verb among moving verb is used in constructions of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 and case frames and semantic role are significa...
This study examines homonymy and polysemy of 'Nagada', a Korean prototype moving verb. The 'Nagada', a representative verb among moving verb is used in constructions of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 and case frames and semantic role are significantly fluctuated. Moreover, mix of 'Nagada' and 'Na-agada' is relatively prominent in the real language lives. In addition, since semantic descriptions of the verb, 'Nagada' are varied in each dictionary, it is selected as the object of this study.
While the existing studies analyzed verbs from one-dimensional view,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verb 'Narada' by focusing on case frames and semantic roles, from three-dimensional view. At first, homonymy and polysemy of 'Nagada' are verified. And one verb derived from a compound verb created by combining 'Nada' and 'Gada', both of which were middle Korean languages and other one derived from it composed of 'Nata' and 'Gada' are determined as 'Nagada 1' and 'Nagada 2', respectively. And then, each prototype semantics and its diagram of them is identified. Moreover, according to syntactic structures and semantic roles of argument, each sub-semantic diagram of 'Nagada 1' and 'Nagada 2' and semantic flexibility between them are confirmed. Finally, the last single semantics of each semantic diagram of 'Nagada 1' and 'Nagada 2' are identified, depending on syntactic features of constructions and categorical ones of arguments.
본고는 한국어의 기본적 이동 동사 '나가다'의 동음이의성과 다의성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나가다'는 이동 동사 중 대표적인 단어로서 타동사 구문에서도 쓰이고 자동사 구문에서도 쓰이...
본고는 한국어의 기본적 이동 동사 '나가다'의 동음이의성과 다의성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나가다'는 이동 동사 중 대표적인 단어로서 타동사 구문에서도 쓰이고 자동사 구문에서도 쓰이며 격틀과 의미역의 변화가 아주 심하다. 또한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가다'와 '나아가다'의 혼용 현상이 비교적 심할 뿐 아니라 사전마다 동사 ‘나가다’에 대한 의미 기술에도 다른 부분이 있기 때문에 동사 ‘나가다’를 연구대상으로 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동사를 평면적으로 분석하였으나 본고에서는 격틀과 의미역을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동사 '나가다'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동사 ‘나가다’의 동음이의성과 다의성을 확인하고 중세 한국어 동사 ‘나다’와 ‘가다’가 결합된 복합동사에서 비롯된 것들을 ‘나다가1’로, 중세 한국어 동사 ‘다’와 ‘가다’가 결합된 복합동사에서 비롯된 것들을 ‘나다가2’로 설정하였다. 그런 후에 ‘나다가1’과 ‘나가다2’의 기본의미와 기본 의미도식을 각각 확인하였다. 그리고 논항의 통사 구조와 의미역에 따라 ‘나가다1’과 ‘나가다2 ’각각의 하위 의미도식과 각 의미 도식 간의 의미론적 유연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나가다1’과 ‘나가다2’의 각 의미도식의 최종 단의를 구문의 통사적, 논항의 범주적 특성에 따라 확인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