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말소리 단어재인 시 재음절화의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어 말소리 발화시 재음절화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분절 단서로서 음절이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비단어 문맥...

본 연구는 한국어 말소리 발화시 재음절화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분절 단서로서 음절이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비단어 문맥과 실제 단어가 합쳐진 음성 자극에서 목표 단어를 찾는 단어 탐지 과제(word spotting task)를 실시한 결과, 음절 경계와 단어 경계가 일치하는 비연음 조건(e.g. 퍼더 우연)이 연음 조건(e.g. 퍼던 우연)보다 목표 단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냈다. 실험 2에서는 음절 경계의 명료성 요인(연음/비연음)과 문맥 예측성 요인(연관/중립)이 단어 재인에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청각어휘판단과제를 시행하였다. 자극은 연관-비연음(e.g. 치과-이빨), 연관-연음(e.g. 칫솔-이빨), 중립-비연음(e.g.고개-우연), 중립-연음(e.g. 이혼-우연)의 네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결과, 반응 시간에서 음절 경계의 명료성 요인이 문맥의 예측성 요인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였으며, 두 요인의 주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오류율에서는 문맥의 예측성 요인 주효과만 유효하였다. 실험 2의 상호작용과 주효과로 볼 때, 문맥이 가진 예측성 요인이 연음과 비연음 조건 모두에서 단어 재인의 촉진을 일으키며, 연음의 종성이 문맥의 예측성과 상호작용하여 재음절화로 인한 단어 재인에 촉진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한 결과, 한국어에서 분절의 기본단위가 음절이라는 점을 지지하였다. 또한, 문맥의 예측성 요인과 음절 경계 명료성 요인이 어휘처리과정에서 함께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resyllabification on Korean spoken word recognition. First, in experiment 1, we studied how syllables as segmental cues can affect word recognition. A word spotting task in which an acoustic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resyllabification on Korean spoken word recognition. First, in experiment 1, we studied how syllables as segmental cues can affect word recognition. A word spotting task in which an acoustic stimuli (a combination of non-word contexts and real words) was given and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find the target word, the aligned condition (e.g. perdeo wooyeon) showed a faster and mor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target words(e.g. ‘wooyeon’, menaing: coincidence) compared to the misaligned condition (e.g. perdeon wooyeon). In experiment 2, an auditory lexical decision task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the clarity of the syllable boundaries (misaligned-aligned conditions) as well as context predictability (related-neutral conditions) on word recognition. The target stimuli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conditions: related-aligned (e.g., ‘chigwa-ippal’, meaning: ‘dentistry-teeth’), related-misaligned (e.g. ‘chissol-ippal’, meaning: ‘toothbrush-teeth’), neutral-aligned (e.g. ‘gogae-wooyeon’, meaning: ‘hill-coincidence’), neutral-misaligned (e.g. ‘ehon-wooyeon’ meaning: ‘divorce-hill’) conditions. The resul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larity of syllable boundaries and the context predictability, with both showing significant main effects. The error rat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only the context predictability factor. Based on the results and analysis, the predictability of the context seems to facilitate word recognition along with the aligned and misaligned conditions, with the consonant of the misaligned condition interacting with the predictability of the context in order to facilitate word recognition through resyllabification. Conclusively, this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segmenting in Korean is based on the syllable units, and that the predictability of the context and the clarity of the syllable boundary significantly affect lexical processing at the word recognition level.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