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수술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심장질환자의 심장수술건강관련 삶의 질 및 삶의 질과 우울, 불안, 피로와의 관계를 파악, 이를 다시 수술 후 기간별로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

본 연구는 심장질환자의 심장수술 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삶의 질과 우울, 불안, 피로와의 관계를 파악, 이를 다시 수술 후 기간별로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횡단적 비교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로 수술 후 1-3개월, 4-6개월, 7-12개월 된 20세 이상의 환자로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흉부외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7월부터 10월까지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EuroQol-5Dimension(EQ-5D, 1987)의 한국어판(KEQ-5D)을 사용하였고, 우울과 불안은 Zigmond 등이 개발한 것을 한국어 버전의 병원 불안-우울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of Korea, HAD-K)를 사용하였으며, 피로는 Cleeland & Mendoza(1997)가 개발한 것으로 한국어판 BFI(Brief Fatigue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확인하고, 삶의 질, 우울, 불안, 피로 연구변수의 정규성은 Kolmogrov-Sminov Test를 통해 검증하고 각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별 삶의 질과 불안, 우울, 피로의 차이는 독립 이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성별(F=4.146, p=.043), 음주(F=26.335, p=.000) 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연령(F=2.83 p=.026), 교육정도(F=2.89, p=.023), 결혼 상태(F=5.129, p=.007), 월 수입액(F=4.849, p=.0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은 연령(F=4.125 p=.003), 결혼 상태(F=3.623, p=.02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피로는 연령(F=4.834, p<.001), 교육수준(F=2.594 p=.038), 직업(F=3.428 p=.018), 결혼 상태(F=4.957 p=.008), 월수입(F=3.870 p=.010), 재입원(F=2.173 p=.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수술 후 기간별 삶의 질, 우울, 불안, 피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기간별 우울, 불안, 현재 피로도, 평균 피로도, 가장 피곤한 정도는 수술 후 7-12월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삶의 질은 수술 후 1-3개월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낮았다(F=9.878, p=.000; F=20.627, p=.000; F=10.471, p=.000; F=16.892, p=.000; F=17.426, p=.000).
3. 연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우울, 불안, 현재 피로도, 평균 피로도, 가장 피곤함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일, 인생을 즐김, 일반적인 활동, 불안, 수술 후 4개월 이상인 경우, 보행능력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총 60.9%(Adjusted R2=.609)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심장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우울, 불안 및 피로는,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이루어지는 집중적인 간호중재로 추후 삶의 질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단기적이고 차별화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Research has process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of nursing intercession for a increasing of surgical patient’s quality to aware quality of life concerned healthy after cardiac surgery of cardiac disorder and grasping of quality of ...

The Research has process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of nursing intercession for a increasing of surgical patient’s quality to aware quality of life concerned healthy after cardiac surgery of cardiac disorder and grasping of quality of life related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lso the research progressed with crossing study to compare that heart surgery impact quality of surgical patient’s life.
The subjects was defined group as 1-3 month, 4-6 months and 7-12months of surgical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who are over 20 years old. The term of gathering research material is performed between July to Oct, 2009, the subjects was selected among of heart surgical patients in one of Cardiac Surgery of University Hospital at Seoul.
The research was referred of standards of EuroQol-5 Dimension(EQ-5D, EuroQol group, 1987) for quality of life concerned healthy,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of Korea, HAD-K write and develop by Zigmond for depression and anxiety as Korean versioned and BFI(Brief Fatigue Inventory) write and develop by Cleeland & Mendoza(1997) as Korea version.
An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SPSS(version 17.0) progra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hown as follows:
1. The demographycal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life for subject was shown as significant different of gender(F=4.146, p=.043), alcohol (F=26.335, p=.000).
The depression according to demographycal characteristics was shown as significant different of age(F=2.83 p=.026), education (F=2.89, p=.023), marital status(F=5.129, p=.007), income(F=4.849, p=.003). The anxiety according to demographycal characteristics was shown as different attendant of age(F=4.125 p=.003), marital status(F=3.623, p=.029).
The fatigue according to demographycal characteristics was shown as significant different of educational grade(F=2.594 p=.038), job(F=3.428 p=.018), marital status(F=4.957 p=.008), income(F=3.870 p=.010), readmission hospital(F=2.173 p=.031).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t of various length of time of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fter cardiac surgery.
3. Showing found of link for research variable, depression, anxiety, now fatigue, usual fatigue and worst fatigue affect quality of life and negative
4. The primary factor to be affected to quality of life concerned health of subject are appeared by work, enjoy of life, general activity, but incase of group 4month was affected with ability of walk. This regression models say that quality of life is total 60.9%(Adjusted R2=.609)
As the outcome of researc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concerned healthy for cardiac surgery patient is affected with term after surgery. I think that concentrating nursing intervention make more good quality of future life within 3 months after surgery,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intervension various of time length, age category, gender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fter surgery. Especially, it is important role to serve short programmed differentiated nursing intervention after 4 months and within 3months from surgery.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