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아동 간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간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비교하고 두 군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격차에 따른 아동의 건강...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간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를 비교하고 두 군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격차에 따른 아동의 건강생활 형평성 제고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 경기 지역 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다문화가정 아동 87명과 일반가정 아동 228명, 총 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년(x²=4.821, p=.028). 아버지 학력(x²=7.818, p=.020), 어머니 학력(x²=7.218, p=.02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문화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는 외국인 부모님의 한국말 정도(F=3.473, p=.036), 가정 내 한국어 사용빈도(F=4.710, p=.012), 대상자의 한국어 능력 중 말하기 영역(F=2.348, p=.02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959, p=.003), 건강행위 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170, p=.002). 4.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와의 관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r=.580, p=.000)과 일반가정 아동(r=.468, p=.000) 모두 중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상관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건강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건강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행위의 32.1%를 설명하였다. 일반가정 아동의 경우에도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건강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건강행위의 24.1%를 설명하였다. 두 군에서 모두 자아존중감이 건강행위와 관련이 있었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약 8% 정도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uild a base for consideration of equality regarding childre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in multicultural and homogeneous families. For this, we compared the extent of self-esteem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i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uild a base for consideration of equality regarding childre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in multicultural and homogeneous families. For this, we compared the extent of self-esteem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ithin the two groups, and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related behavior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researched a total 315 elementary school subjects, 87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228 from homogeneous families,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and Kyeon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subjects enjo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years(=4.821, p=.028), their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7.818, p=.020), and their mothers'(=7.218, p=.027). 2. Self-esteem of subjec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This difference depended on foreign parent's level of Korean(F=3.473, p=.036), frequency of use of the Korean within families (F=4.710, p=.012), their Korean speaking (F=2.348, p=.021).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health behavior variables a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3. The Self-Esteem is multicultural children's was more highly and significant differnece was showed(t=2.959, p=.003), and Health behavior is Multicultural children's was more lowly and significant differenece was showed(t=-3.170, p=.002). 4. Self-esteem and Health Behavior in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child relationship (r=.580, p=.000) and general family and child (r=.468, p=.000) all of the positive correlation is not impartial ,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ildren show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5.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of subjects, look at the multicultural children's when the higher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lower the high activity seen by health, 32.1 percent of the health behavior was explained. Even if the homogeneous children's, the higher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lower the high activity seen by health, 24.1 percent of self-esteem and health behavior was explained. Both the multicultural children's and homogeneous children's, health behavior related to self-esteem, but the multicultural children's self-esteem than honogeneous children's, compared to approximately 8% was much higher relevanc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