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focuses on directive speech acts for the education of second language learners of Korean. For this study, an analysis was made of directive speech act sentence patterns presented in Korean teaching aids. Further supported by an investigati...
This thesis focuses on directive speech acts for the education of second language learners of Korean. For this study, an analysis was made of directive speech act sentence patterns presented in Korean teaching aids. Further supported by an investigation of the speech acts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foreign language learners of Korean, a method of teaching directive speech acts is proposed.
Sections 1 and 2 examine the need for speech act education and the theories of speech acts. Searle and Hindelang's theories of directive speech acts are examined and the importance of speech act educ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consideration of speech acts and their closely related speech functions.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theory of directive speech acts allows directive speech acts to b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classes of orders, recommendations, demands, requests, proposals and suggestions.
In section 3, directive speech act sentence patterns found in Korean teaching aids and corpus are analyzed. The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analyzed separately at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hile the analysis of the corpus material identified a wider variety of directive speech act sentence patterns. The sentence patterns from the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then sor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discussed in section 2.
The speech acts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non-native language learners of Korean are analyzed in section 4. To extract the different aspects of native speakers' speech acts, 47 episodes of three different Korean dramatic TV shows, “The World That They Live In” <그들이 사는 세상>, “My name is Kim Sam Soon” <내 이름은 김삼순>, and “Coffee Prince Number 1” <커피프린스 1호점>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non-native Korean learners' speech acts, four experimental scenarios were presented and the produced students' speech act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rom these two kinds of analysis, examples of the mistakes made in second language learners' speech acts were extracted.
Finally, section 5 draws conclusions from the analyses of speech acts made in sections 3 and 4, and suggests a method of teaching directive speech acts. Presenting non-native language learners with a variety of speech act scenarios educates learners by having them produce speech acts more naturally in appropriate situations. Directive speech act teaching methods are divided into plans that can be accomplished at each level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are presented.
Speech act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helping second language learners become able to communicate appropriately in realistic situations. Speech act education helps second language learners develop their communication comprehens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rules existing in language. A language and its culture can be well understood through speech act education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develop effective methods of assisting communication comprehension.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지시적 화행 교육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지시적 화행 문형을 분석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화행 양상과 한...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지시적 화행 교육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지시적 화행 문형을 분석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화행 양상과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 분석을 통해 지시적 화행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1장과 2장에서는 화행 교육의 필요성과 화행에 대한 이론들을 살핀다. 화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의 기능을 통해 화행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본 연구의 대상인 지시적 화행에 대한 Searle의 이론과 Hindelang의 이론에 대해 알아본다. 지시적 화행 이론을 바탕으로 정립한 분류 기준을 통해 지시적 화행 하위 부류인 명령, 권고, 요구, 부탁, 제안, 제의로 분류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와 코퍼스를 통해 지시적 화행 문형을 분석한다. 한국어 교재는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코퍼스 자료 분석을 통해 좀 더 다양한 지시적 화행 문형을 알아본다. 2장에서 제시한 지시적 화행 분류 기준을 통해 한국어 교재의 지시적 화행 문형을 분류한다.
4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을 분석한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화행 양상을 축출하기 위해 드라마 <그들이 사는 세상>, <내 이름은 김삼순>, <커피프린스 1호점> 세 종류의 드라마 47편을 분석한다.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네 가지의 실험 상황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의 화행을 녹취․ 전사한다. 두 가지 화행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 실패 예를 축출한다.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분석한 한국어 교재와 화행 분석을 통해 지시적 화행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화행 상황을 제시해 주고, 학습자들이 적절한 발화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초급․ 중급․ 고급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화행 교육 방안을 나누어 제시한다.
화행 교육은 학습자가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한 발화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중요한 부분이다. 학습자가 언어 속에 존재하는 규칙과 담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화행 교육은 언어와 문화를 잘 알게 하고,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