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연체수식절에서의 텐스, 아스펙트에 대한 대조언어학 관점에서 고철하고 그 양태를 분명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에서 쓰여진 소설과 한국어 번역...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연체수식절에서의 텐스, 아스펙트에 대한 대조언어학 관점에서 고철하고 그 양태를 분명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에서 쓰여진 소설과 한국어 번역본에서 수많은 실 용례를 찾아 그것을 고찰 대상으로 했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체수식절에서 일본어의 비과거를 나타내는 「ル」형, 과거를 나타내는 「タ」형과, 한국어의 현재를 나타내는 「는」형, 과거를 나타내는「은/ㄴ」형, 미래를 나타내는 「을/ㄹ」형, 회상을 나타내는 「을/ㄹ형」형이 각각 텐스, 아스펙트 형식에서 어떻게 쓰이고 양 언어간에서 어떤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을 분명히 했다.
둘째, 연체수식절은 그 통어적인 성질로 인하여「내 관계(内の関係)」와「외 관계(外の関係)」이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어느 텐스, 아스팩트 형식을 쓸 지를 결정하는 요인이 연체수식절 안에 들어있는 술어에 있다고 보는 것에 반해, 후자는 그러한 것이 연체수식절과 관련되어 있는 주명사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텐스, 아스팩트의 양식과 형태가 다름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연체수식절과 관련되어 있는 주명사의 분류에 있어서는 독자적인 분류를 제창했으며 그 의미적인 분류가 유효하다는 것도 주장하였다.
셋째, 앞서 논한 것과 관련하여 、「내관계(内の関係)」에서는 주관적인 표현인 모달리티 형식이 나타나기 어려운 것에 반해,「외관계(外の関係)」에서는 그러한 형식이 나타나기 쉽다고 논했다.
넷째, 연체수식절에서 과거의 「タ」형을 취하는 단순 형태를 나타내는 일본어 동사의 대부분이 한국어에서는 현재형의 형용사(이 경우는 「은/ㄴ」형)에 대응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양언어간의 차이는 일본어에 비해 한국어 쪽이 동사와 형용사의 경계가 가깝다고 하는 양언어간의 품사체계 차이에 기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상의 고찰결과가 선행연구에서는 명확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아 언어간의 차이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요인도 유도해냈다는 점에서 대조언어학연구의 진전에 기여가 되지 않았을까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