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제로論項의 解析 : 對話文을 中心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日本語의 특징 중 하나라고 알려진 제로論項이 談話의 結束性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제로論項을 유형별로 나눠 그 분포도를 알아보았...

본 연구는 日本語의 특징 중 하나라고 알려진 제로論項이 談話의 結束性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제로論項을 유형별로 나눠 그 분포도를 알아보았으며, 제로論項이 포함된 談話를 이해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의 推論이 필요한지, 그리고 韓國語의 경우는 어떠한지 대조해 보았다.
먼저 제로論項을 유형별로 나눠 談話의 結束性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제로論項은 日·韓 양 국어 모두 發話에 꼭 필요한 요소로서, 한 發話에 1개 내지 2, 3개가 존재하는 등 談話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제로論項이 지시하는 先行詞의 유형이 다양하고, 제로論項과 先行詞 사이의 분포 범위가 넓어 談話를 유지하고 結束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또한 이제까지의 연구를 보면 제로論項과 結束性 관계를 언급할 때 주로 제로 連用項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나, 분석 결과 모호하게 인식되어 온 제로 連?項도 談話의 凝集性을 부여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다음으로 제로論項이 포함된 談話의 凝集性과 推論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이다. 제로論項은 談話 凝集力이 높고 推論 비용이 적을 때 사용되지만, 한편으로 推論 비용이 높을 때도 50%이상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제로 論項이 센터가 유지되는 凝集性있는 談話에서 뿐만 아니라, 센터가 움직이며 이동하는 談話에서도 사용된다는 뜻으로, 제로論項은 推論 비용의 정도가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됨으로서 談話의 凝集性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日本語와 韓國語의 推論 비용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凝集性이 있다고 알려진 談話상황에서는 그 비용 정도가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제로論項의 분포 면에서는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日本語의 경우, 센터가 유지되는 談話상황에서는 제로論項의 사용률이 64.48%로 높게 나온 반면, 韓國語의 경우 40%로 낮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凝集性 있는 談話상황에서는 제로論項이 주로 사용될 것이라는 예상을 깬 결과로, 韓國語가 어떤 主題에 관해 지속적으로 이야기 할 때 日本語보다 비제로 論項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日本語의 특징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보면 日本語는 韓國語보다 청자를 배려하는 언어이며, 하이 콘텍스트 문화(High context culture)와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왔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도 어떤 한 主題에 관해 이야기 할 때 日本語가 제로論項 사용률이 더 높게 나온 것을 보면, 공유하는 정보량이 많으면 언어화해서 전달하는 정보가 적어진다는 하이 콘텍스트 문화와 관련성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This dissertation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zero arguments, which are known as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cohesion of discourse. For this, zero argum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types to examine their ...

This dissertation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zero arguments, which are known as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cohesion of discourse. For this, zero argum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types to examine their distribution. The discourses containing zero arguments are also examined to find out how much inference is necessary to be understood, while comparing the result with that of Korean.
Zero arguments are fir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types to fou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discourse and cohesion. The results show that zero arguments are essential elements for the utterance of both Japanese and Korean, appearing 1 - 3 times in an utterance, which is a high ratio in discourse. As the types of preceeding words which zero arguments refer to are diverse and a distance between the zero arguments and the preceeding words is high, they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continuing and maintaining the unity of the discourse.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the importance of Zero verbal arguments usually has been emphasized when mentioning the correlation between zero arguments and cohesion. The analysis in this dissertation, however, proves that the zero nominal arguments that have been vaguely understood make a big contribution to giving coherence to discourse.
In this dissert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erence and the coherence of the discourse containing zero arguments is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zero arguments are used when the coherence of discourse is high with low inference cost and also are used in more than 50% of the cases with high inference cost. This means that zero arguments are used not only in the discourse in which center continues with coherence, but also in the discourse in which center moves. It indicates that zero arguments give coherence to discourse by being used in diverse environments with different inference costs. In addition, Japanese and Korean are compared regarding inference cost,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st is generally similar in the discourse environment where coherence is known to exist.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zero arguments. In case of Japanese, the rate of the use of zero arguments is as high as 64.48% in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which center continues; while in case of Korean, it is as low as 40%. This is an unexpected result because zero arguments are anticipated to be used mostly in the discourse environment which has coherence. The reason is that Korean uses higher ratio of non-zero arguments than Japanese while a topic is spoken about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research 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t has been known that Japanese is a language which takes more consideration for auditors than Korean and that it has a deep relation with high context culture.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also show that Japanese uses higher ratio of zero arguments while a topic is spoken about. This i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high context culture that is the more the shared information, the less the information transferred through languag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