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지시사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purposes to examine using patterns —forms, usages, relations and occurrences of Korean reference items based on corpus linguistic methodology. In order to describe comprehensively using patterns in spoken languages and written languag...

This purposes to examine using patterns —forms, usages, relations and occurrences of Korean reference items based on corpus linguistic methodology. In order to describe comprehensively using patterns in spoken languages and written languages, it constructed a corpus for research including spoken languages data, and examined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rate of forms and usages quantitatively and statistically for all reference items shown in the corpus.In addition, it compared and showed the differences dividing the forms and the usages of reference items into spoken/written languages, and re-established oppositional relations on the use of reference items [i, geu and jeo(this, the and that)] based on critical reviews for preceding studies and inquiry on the corpus.In Chapter 2, it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reference’ of the reference items is that of ‘reference in Halliday and Hasan(1976)’ and ‘deixis’ and established the range of reference items except exclamations and connecting adverbs based on the concept of 'reference'. And it classified the reference items into referring prenoun, referring pronoun and referring declinable words by the syntagmatic relationship between ‘i, geu and jeo’ and subsequent elements.Chapter 3, as the outlook for the whole , explained the basic concept of usage classification and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and described the classification of usage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corpus, putting it together. The usages of reference items broadly was examined, dividing into general precedent context reference, general subsequent context reference, connection reference, discourse context reference, conceptual context reference, text reference and the type without reference function, and classified the examples belonged to each usage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corpus inductively.In addition,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of oppositional relations on the use of ‘i, geu and jeo’ by dimension, scale and deictic centre, it showed ‘i, geu and jeo’ system can be established as binomial dual oppositional system rather than trinomial unitary oppositional system.In Chapter 4, it analyzed quantita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frequency of [i, geu and jeo] extracted from the corpus, discussing on the design and the formation of the corpus used in the . This constructed a corpus for research considering diversity and typicality, and its total volume is approximately 400,000 phrases.[i, geu and jeo] emerged in the corpus of 400,000 phrases were 32,160 totally, which corresponds to about 8% of total corpus. Among them, [i] was 27%, [geu] 70.1%, and [jeo] 2.6%. Among 32,160 [i, geu and jeo], the example that can be the object of usage classification were 20,727.In Chapters 5, 6 and 7, respectively classified 6,442 referring prenouns, 6,073 referring pronouns and 8,212 referring declinable words by each usage and showed concrete examples. And it reviewed the difference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empiricall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examination of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the rate of each usage.Especially concrete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ference’ of referring prenoun, the ‘text reference’ of referring pronoun, the ‘reference outside sentence’ and ‘paragraph reference’ of referring declinable words and the usage of [i, geu and jeo] without reference function were possible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rpus.This is a research that examined inductively the issue on the syntagmatic relationship of reference items, that is the usage of [i, geu and jeo] and the issue on the paradigmatic relationship of reference items, that is oppositional system of [i, geu and jeo], and the difference of using pattern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through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rpus and it can be said to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using patterns of reference items entirely.

본 논문은 한국지시사의 사용 양상-형태, 용법, 체계, 출현 양상-을 말뭉치언어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입말과 글말에서의 사용 양상을 포괄적으로 기술하기 위...

본 논문은 한국지시사의 사용 양상-형태, 용법, 체계, 출현 양상-을 말뭉치언어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입말과 글말에서의 사용 양상을 포괄적으로 기술하기 위하여 입말 자료를 포함한 연구용 말뭉치를 구성하며, 그 말뭉치에 나타난 모든 지시사를 고찰의 대상으로 하여 형태 및 용법의 출현 빈도와 비율을 계량적, 통계적으로 살폈다.또한 지시사의 형태 및 용법을 입말/글말별로 나누어 그 차이를 비교하여 보이며, 선행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말뭉치의 고찰을 토대로 지시사 [이, 그, 저]의 사용상의 대립 체계를 재정립하였다.2장에서는 지시사의 ‘지시’ 개념이 ‘참조’와 ‘직시’의 개념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탄사와 접속부사를 제외한 지시사의 범위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지시사를 ‘이, 그, 저’와 후행 요소의 통합 관계에 따라 지시관형사, 지시대명사, 지시용언으로 분류하였다.3장은 본 논문의 전체 개관에 해당하는 장으로, 용법 분류의 기초 개념과 분류 기준을 밝혀 적고, 말뭉치 고찰을 토대로 이루어진 용법의 분류를 종합하여 기술하였다. 지시사의 용법은 크게 일반적 선행 문맥 참조, 일반적 후행 문맥 참조, 연결 참조, 화맥 참조, 상맥 참조, 텍스트 참조, 참조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유형으로 크게 나누어 살폈으며, 말뭉치 고찰을 토대로 각 용법에 속하는 예를 귀납적으로 하위 유형화하였다.또한 ‘이, 그, 저’의 사용상의 대립 체계를 차원, 척도, 직시 중심에 따라 구분한 결과 ‘이, 그, 저’의 체계를 삼항적 일원 대립 체계가 아닌 이항적 이원 대립 체계로 설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4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말뭉치의 설계 및 구성에 대하여 논하여 말뭉치에서 추출한 [이, 그, 저]의 출현 빈도상의 특징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성과 전형성을 고려하여 연구용 말뭉치를 구성하였는데, 전체 크기는 약 40만 어절이다.40만 어절의 말뭉치에 출현하는 [이, 그, 저]는 모두 32,160개였는데, 전체 말뭉치의 약 8%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 중 [이]가 27%, [그]가 70.1%, [저]가 2.6%였다. 32,160개의 [이, 그, 저] 중 용법 분류의 대상이 되는 예는 20,727개이다.5, 6, 7장에서는 각각 6,442개의 지시관형사, 6,073개의 지시대명사, 8,212개의 지시용언을 용법별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예를 보였다. 그리고 각 용법의 출현 빈도와 비율의 계량적, 통계적 고찰을 토대로 입말과 글말에서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특히 지시관형사의 ‘연결 참조’, 지시대명사의 ‘텍스트 참조’, 지시용언의 ‘문장 밖 참조’와 ‘단락 참조’, 그리고 참조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이, 그, 저]의 쓰임은 말뭉치의 고찰을 통하여 구체적인 기술이 가능하였다.본 논문은 지시사의 통합 관계상의 문제 즉 [이, 그, 저]의 용법과, 지시사의 계열 관계상의 문제 즉 ‘이, 그, 저’의 대립 체계, 그리고 입말과 글말에서의 출현 양상의 차이를 말뭉치의 실증적 고찰을 통하여 귀납적으로 살핀 연구로, 지시사의 사용 양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