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aims to describ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aspect of Korean and Chinese in the distribution of linguistics. In chapter 1, I will discus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history of the study on aspect, the...

This aims to describ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aspect of Korean and Chinese in the distribution of linguistics.
In chapter 1, I will discus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history of the study on aspect, the discussion on the configuration and technical concepts. In chapter 2 and chapter 3, I will examine the meanings and the usages of individual aspect markers of Korean (-어 있-, -고_(2) 있-, -어 버리- and -어 오-, -어 가-, -고_(1) 있-)and those of Chinese(le, guo, zhe and zai). The results of this chapter are as follows:
The aspect markers of Korean -어 있- and -고_(2) 있- show a meaning of continuance of the result'. accordingly, -어 있 and -고_(2) 있- can only combine with verbs which have the end-point meaning. -어 버리- has a meaning of perfective, but it is restricted in using. -어 오-, -어 가- has a meaning of imperfective, but it is restricted in using. -고_(1) 있- has a meaning of imperfective, too , and there is few limit on usage.
The aspect marker of Chinese '了(le)' has a meaning of perfective and there is few limit on usage. '過(guo)' has a meaning of perfective, but it is restricted in using. Because It has the addition meanings of 'experience', 'once at least', 'the past perfect', ' can repeat'. '着(zhe)' shows a meaning of 'continuance of the result'. as a result of those meanings, it is restricted in using. '在(zai)' has a meaning of imperfective, and there is few limit on usage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chapter 2 and chapter 3, a conclusion is made in chapter 4 that the aspect markers of Chinese are more actively used than those of Korean. It means that the aspect markers of Chinese are more developing than those of Korean.
In chapter 5, I sumed up all the discussions and pointed out limitations of this study. I can not point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pect and the sentence pattern, the time adverb, the tense. It is necessary to make a deep study on these problems.

본고는 한국어 상과 중국어 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상과 중국어의 상을 비교함으로써 양자의 문법 의미 및 사용 분포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본고는 한...

본고는 한국어 상과 중국어 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상과 중국어의 상을 비교함으로써 양자의 문법 의미 및 사용 분포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을 관찰하고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를 정확하고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 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되면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나 중국어 교육 방법 연구에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완료상과 미완료상 표지가 어떤 문법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문법 의미가 상황 유형과 결합할 때 어떤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두 언어 간의 상 표지가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본고는 네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사, 논의방법과 범위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우선 상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어서 한국어의 상과 중국어의 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상(aspect)을 '상황의 내적 시간구성을 바라보는 방법'을 나타내는 문법범주로 보고 한국어와 중국어 각각을 '완료상(perfective)과 미완료상(imperfective)'의 대립관계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상의 자질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상황 유형과 관련시켜서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의 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어에서 완료상 표지 '-어 있-', '-고_(2) 있-'은 '결과 지속'의 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끝점을 가지고 동작이 끝난 뒤에 결과가 지속할 수 있는 동사와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어 버리-'도 '완료'의 상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제거성 동사와만 결합하는 제약이 있다. 미완료상 표지 '-어 오-' , '-어 가-' '-고_(1) 있-'은 '진행'의 상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고_(1) 있-'은 '-어 오-', '-어 가-'에 비하여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비교적으로 덜 받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어의 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중국어에서 완료상 표지로서의 '了'는 문법 형태이므로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아주 활발하게 쓰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過'도 완료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過'는 '경험', '적어도 한 번', '과거 완료', '반복 가능'이라는 의미 자질을 부가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着'은 '결과 지속'의 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미완료상 표지로서의 '在'는 '진행'의 상 의미를 나타내고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한국어의 상 표지와 중국어의 상 표지는 모두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어의 상 표지는 한국어의 상 표지보다 상황 유형에 따른 제약을 덜 받는다. 특히 중국어의 '了'는 몇 개의 동사 이외에 거의 모든 동작동사와 공기할 수 있으며 아주 활발하게 쓰일 수 있다. 이는 중국어의 '了'는 문법형태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중국어든 한국어든 다른 상 표지는 어휘적인 의미를 많이 지니고 있기 때문에 쓰임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제4장에서는 본고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밝혔다. 본고는 상황 유형과 관련시켜서 각 상 표지가 쓰일 때 어떤 제약을 받는지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동사와의 결합 양상만을 살펴보았다. 동사 이외에 시간부사나 문장유형 등 상황 유형과 관련시켜서 논의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본고는 시제를 떠나서 단순히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시제와 상은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문법범주이므로 시제와 상을 관련시켜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 기회로 미룬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