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와 한국어의 ‘칭찬(ほめ)’에 관한 고찰 : TV토크쇼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인간관계에 있어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는 ‘칭찬(ほめ)’이라는 언어행동을 일본과 한국의 TV토크쇼를 통해 분석하여, 대화의 진행과정에 있어 어떤 시점에서 ‘칭찬(ほめ)’이 ...

본 연구는 인간관계에 있어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는 ‘칭찬(ほめ)’이라는 언어행동을 일본과 한국의 TV토크쇼를 통해 분석하여, 대화의 진행과정에 있어 어떤 시점에서 ‘칭찬(ほめ)’이 주로 이루어지며 ‘칭찬(ほめ)’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따른 칭찬의 대상, 그리고 표현 방법의 차이에 따른 칭찬의 대상과 그에 따른 칭찬반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한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의 시점에 따른 ‘칭찬(ほめ)’의 빈도 및 칭찬하는 대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일본어와 한국어의 언어 표현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그에 따른 ‘칭찬반응’은 어떠한지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연구 결과, 일본어는 한국어에 비해 상대방에 대해 칭찬을 할 때 청자 자신의 FTA를 침해 할 수 있는 사적 요소 보다는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칭찬을 행하였다. 반면, 한국어는 일본어와 비교해 청자의 사적인 것이나 개인사를 화자의 주관적 판단으로서 상대에 대해 평가하고, 청자의 사적 요소를 칭찬 화제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칭찬 표현에 따른 칭찬 반응 역시 일본어는 자신보다는 칭찬을 하고 있는 화자를 배려하는 마음과 상호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진행을 위해 칭찬 반응으로서 수용의 자세를 주로 행하였다. 그러나 한국어는 상호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진행도 중요하였으나, 청자 자신이 칭찬을 하고 있는 화자에게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지에 더 중점을 두어 상대방에게 겸손하게 보이기 위한 칭찬 반응을 주로 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칭찬 반응으로서의 무응답반응에 대해 간과한 면이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칭찬 반응으로서의 무응답반응은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서의 의식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었다. 일본어는 칭찬을 의례적이고 상투적인 것으로 간주하였을 때 무응답으로 반응하였던 것과 달리, 한국어는 칭찬의 효과를 축소하려는 것으로서 칭찬에 대한 대답 자체를 하기 난처한 상황에서 응답자체를 회피하기 위하여 무응답으로 반응하였다. 그러므로 한국어에 있어서의 칭찬반응의 스트라테지로서의 무응답반응은, 비껴가기보다 더욱 칭찬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가장 간접적인 전략으로서 사용되었고, 또한 간접적인 의사표현인 만큼 겸양의 가치가 나타나는 언어행동이었다.
이와 같이 ‘칭찬(ほめ)’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지만, 異文化간의 의사소통 능력이 없으면 모국어의 영향에 의해 의사소통의 실패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언어학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며, 서로 다른 문화에 기반을 둔 담화자간의 ‘칭찬(ほめ)’의 언어행동을 행하는데 있어서의 실패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本究は人間係にあって潤滑油的な機能をする' (ほめ)'と言う言語行動を、 日本と韓で放映されたテレビのトク番組から話を略论し、話の進行過程におい てどんな時点で' (ほめ)'が行...

本究は人間係にあって潤滑油的な機能をする' (ほめ)'と言う言語行動を、 日本と韓で放映されたテレビのトク番組から話を略论し、話の進行過程におい てどんな時点で' (ほめ)'が行われ、' (ほめ)'が行われる時点に伴うの 象、そして表現措施の差に伴う' (ほめ)'の象とそれに伴う反にして の考察、コミュニケションの時点に伴う' (ほめ)'の頻度及びする象を表 現するにあって日本語と韓語の言語表現の類似点と相違点は何であるか、またそれに 伴う' 反'はどう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考察した。
考察の結果、日本語での話は相手をする時、客的に判できる部分にあって のを行う。しかし韓語での話では、聞き手の個人的な事を話し手の主的な判 として相手にして評し、聞き手のプライベトな要素を話題で使用する傾向 が高かった。
表現に伴う反においても、日本語は自身よりもをしている話し手を配 慮する受容の姿勢が多く、韓語では話し手自身が相手に謙遜な態度に見えるように 反が主に行われているのがわかった。
今までの先行究では、反としての無答反にしてれられていないが、 本究結果は、反としての無答反は日本語と韓語にあっての意識差が最も 目立って現れる部分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日本語の場合、を儀的で常套的な事 と見なした時に無答で反する。韓語はにするえが困難なとき、答を回 避するために無答で反をしていた。よって韓語の場合、反のストラテジと しての無答反は、回避よりもっとの果を減少させる一番間接的な略として 使用され、また間接的な意思表現であるがゆえに謙の値が現れる言語行動であると いえる。
このように' (ほめ)'は人間係にあって潤滑油的な機能をしているが、異文化 間の意思疎通能力がない場合、母語の影響による意思疎通の失敗が生する可能性が 高い。その点から本究は、社言語的で意義があり、お互い違う文化に基盤を持っ ている談話者間の' (ほめ)'の言語行動での相互理解に役に立つと思う。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