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중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의 의미에 대한 대비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자 한다.
관용표현은 의미 불투명성을 지니고 있다. ...
본고는 한·중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의 의미에 대한 대비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자 한다.
관용표현은 의미 불투명성을 지니고 있다. 즉 관용표현의 의미는 구성 요소의 합에서 추출될 수 없다.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의 의미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신체어의 의미 확장, 신체어에 결합된 용언의 의미 확장, 관용표현의 의미전이 등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요인에 착안하여, ‘머리’, ‘얼굴’, ‘목’, ‘눈’, ‘코’, ‘입’, ‘손’, ‘다리’, ‘발’, ‘어깨’, ‘가슴’, ‘배’, ‘등’, ‘허리’에 관한 한국어 관용표현 574개와 이들 표현의 중국어 직역을 대비·고찰했다.
대비 결과, 한국어에만 있는 신체어의 확장의미는 인접성에 의한 것이 많으며, 중국어에만 있는 신체어의 확장의미는 유사성에 의한 것이 많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신체어에 결합된 한국어 용언은 중국어보다 추상적인 뜻을 나타내는 명사와 공기할 수 있는 경우가 비교적 많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을 학습할 때에 신체어의 확장의미를 일차적으로 중시해야 하고, 신체어에 결합된 용언의 의미에 대한 전면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爲了提高韓國語學習者對身體語慣用表現的理解能力,本稿對兩國身體語慣用表現的意義進行了對比。
慣用表現的意義具有“不透明性”。也就是說,慣用表現的意義不是字面意義的總和。...
爲了提高韓國語學習者對身體語慣用表現的理解能力,本稿對兩國身體語慣用表現的意義進行了對比。
慣用表現的意義具有“不透明性”。也就是說,慣用表現的意義不是字面意義的總和。因此,對外囯人學習者來説,要熟練的掌握和應用慣用表現絕非易事。造成慣用表現意義不透明的原因多種多樣。本稿把其原因歸結為身體詞彙的意義擴張,相關謂詞的意義擴張,以及身體語慣用表現整體的意義轉移等。
對照時首先考慮身體詞彙的意義擴張的差異。韓國語身體詞彙的意義擴張主要跟換喻和提喻有關,中國語身體詞彙的意義擴張主要跟隱喻有關。本稿對身體語慣用表現所涉及的兩國語中謂詞的意義也進行了比較。對比的結果表明,一般情況下,此類韓國語謂詞可以和抽象名詞共用,免费韩语论文,而此類中國語謂詞則不然。了解了兩國語中存在的這些差異,應該會對韓國身體語慣用表現的學習有所幫助。
另外,本稿對兩國語言中相關的轉義現象也進行了比較。筆者認爲, 此類問題是需要用認知語言學的知識來解決的。本稿所使用的漢語資料來自對韓國語的直譯,在翻譯的過程中,韩语论文,難免會留下筆者臆斷的痕跡。
在当前對慣用表現的概念以及意義構成方面的研究都不甚成熟的情況下,筆者撰寫本稿,希望能對學習韓國語的中國同胞以及對外韓國語教學提供一點參考與幫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