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construction history of Okinawaken Gokoku Shrine which had gone through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in the course of and after the Asia Pacific War since its birth in June 1, 1940 to define the intentions and goals of the reg... This study examines the construction history of Okinawaken Gokoku Shrine which had gone through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in the course of and after the Asia Pacific War since its birth in June 1, 1940 to define the intentions and goals of the region’s leaderships to have allowed the Gokoku Shrine in Okinawa from the beginning to later days. Before the Second World War, Okinawa had little to do with the Japanese war with foreign countries. Only a small number of Okinawa residents had perished in the war and the number had remained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people even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one of the momentums that had triggered Japan to expand the wars against foreign powers. Such circumstance, however, wasn’t a concern for the leaderships of Okinawa to push forward the construction of the Gokoku Shrine for which the dwellers were obliged to give financial support. Instead, the leaderships were obsessed with the desire to overcome the internal and external recognition of Okinawa as an inferior existence, which could be traced back to so-called Ryukyu Annexation followed by obliteration of Okinawan culture and introduction of assimilation policy and Japanizing education. Such mindset drove the local leading class to accept the mainland’s policy with passion. The establishment of Okinawaken Gokoku Shrine may also be studied in the similar context. The shrine was set upon the goal of the Okinawan leading class to transform its region into the one closely related to the mainland, to be a perfect part of Japan. After 1945, Okinawaken Gokoku Shrine failed to resist Battle of Okinawa and the occupation of GHQ, bereft of all but an office area and some part of Torii. The shrine remained neglected due to the prolonged occupation of the US army in the region until January 1958 when the rebuilding project was ignited by the visitors from Yaskuni Shrine. In April, 1959, a temporary shrine was completed by the Okinawan leaderships with the support from Yaskuni Shrine. Unlike the first spring ritual ceremony in which only the fallen soldiers from Okinawan background was enshrined, the following autumn ritual marked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shrine by moving the body of Mita Mashiro, a mainland-born soldier who died in Battle of Okinawa, from Yaskuni Shrine to the place of the dead souls of Okinawa. Such change offered Okinawa with involvement of Yaskuni Shrine and accompanying nationwide supports to renew the temporary shrine to a longstanding perfect structure. The reestablishment of Okinawaken Gokoku Shrine was the consequence of the mutual interests of the two concerned parties to seek integration of mainland and Okinawa against the prolonged occupation of the US army in the island. Such correlative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shrine’s distinction from other gokoku shrines in general, in terms of the collective enshrinement of all the dead soldiers regardless of background or the war they had participated in.The shrine was reborn as another Yaskuni Shrine, not its subordinate shrine like other common gokoku shrines. The construction of Okinawaken Gokoku Shrine before World War II was made upon the spontaneous movement of the leading class of Okinawa, of which people were subject to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in pursuit of their identity as Japanese. However, after the war, the demand of rebuilding the devastated shrine was met by Yaskuni Shrine which gave ardent support and guide to Okinawa in the hope of completing the commemoration of the dead soldiers in mainland which left imperfect due to the occupation of the US in Okinawa. In other words, Okinawaken Gokoku Shrine was reconstructed upon the request made by the mainland and accepted by the leading class in Okinawa, to play a role as a political mean of the dream of the mainland “to restore the power of Japan” and of Okinawa “to return to the mainland”.
본고는 1940년 7월 1일 창건된 오키나와현호국신사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거치며 파괴되었다가, 전후 다시 재건되는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오키나와가 호국신사를 수용하면서 이를 매개로 ... 본고는 1940년 7월 1일 창건된 오키나와현호국신사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거치며 파괴되었다가, 전후 다시 재건되는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오키나와가 호국신사를 수용하면서 이를 매개로 하여 지향하고자 한 것은 무엇인지 그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전, 오키나와는 일본의 대외 전쟁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다. 만주사변 이후 전쟁의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몰자는 타 지역에 비해 소수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지역 지도자층의 주도 아래 호국신사 창건을 위해 전체 현민에게 의무 지우는 방식으로 창건을 추진해 갔다. 이는 ‘류큐처분’이래 오키나와의 고유문화를 부정당하고, 동화정책과 황민화 교육을 강제로 실시하면서 오키나와를 열등한 존재로 취급했던 내외부의 인식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 오키나와의 지도자층은 본토의 정책을 적극 수용해 왔다. 오키나와현호국신사의 창건 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일본의 완전한 일원이 되기 위한 ‘본토화 지향’의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전후, 오키나와현호국신사는 오키나와전쟁과 GHQ점령 초기를 거치면서 산사 사무소와 도리이 일부를 남긴 채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이후 오키나와의 미군 점령이 장기화되면서, 오키나와현호국신사는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1958년 1월, 야스쿠니신사 관계자들의 오키나와 방문을 계기로 오키나와현호국신사 재건 움직임이 급속히 추진되었다. 야스쿠니신사 측의 적극적인 지원에 오키나와의 지도자층의 주도로 1959년 4월 가사전(仮社殿)이 완성되었다. 가사전 재건 후에는 오키나와현 출신 전몰자만을 합사하는 제1회 춘계예대제가 진행된 후 다음의 제1회 추계예대제에서는 본토출신의 오키나와전쟁 전몰자의 미타마시로(御霊代)를 야스쿠니신사로부터 옮겨 와 추가로 합사했다. 합사자 구성의 변화 후 가사전에서 신사전으로 재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야스쿠니신사의 적극적인 중개로 전국적인 지원도 받을 수 있었다. 이는 미군 점령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오키나와현호국신사의 재건을 통해 본토와 오키나와 쌍방의 ‘본토와의 일체화’ 지향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호국신사와 그 특성을 달리하며 합사자를 출신 지역에 관계없이 오키나와전쟁 전몰자 전체를 합사했다. 이로써 ‘야스쿠니의 분사’와 같은 성격을 지닌 일반적인 호국신사와 달리, ‘야스쿠니와 매우 닮은’ 또 하나의 야스쿠니신사로 재탄생된 것이다. 전전에는 동화의 대상이었던 오키나와가 자발적으로 일본인으로써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역 지도층의 주도로 창건을 추진해 갔다. 그러나 전후에는 오키나와가 미군에 의해 분할 점령을 당함으로써 본토의 전몰자 위령이 미완성에 그치자 야스쿠니신사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도로 오키나와현호국신사의 재건이 추진되었다. 즉, 본토의 요청에 오키나와현 지도층이 호응하는 방식으로 재건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상실된 일본의 회복’이라는 본토의 지향과 오키나와의 ‘본토복귀’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적인 장치로써 오키나와현호국신사가 역할을 한 것이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