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linical nurses' assault responses and burnout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ir turnover intention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subjects were 254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linical nurses' assault responses and burnout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ir turnover intention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subjects were 254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at D Metropolitan City. The related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April 29 to May 5, 2016,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then, this author asked them to complete and return the questionnaires. As the study tools, each one developed by Lanza and translated in Korean by Jang Munjeong for the assault response; developed by Maslach and translated in Korean by Choi Hyeun for the burnout; and developed by Lawler and reconstructed for nurses by Kim Yeongran for the turnover intention, respectively was used. All statistical calculations were performed with SPSS 20.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re given as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Tukey’s HSD test, χ2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for the effectiv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verage and average mark of the assault response were found to be middle: 74.40±16.66(tool range: 26-130) and 2.86±0.64(tool range: 1-5), respectively; their average and average mark of the burnout were found to be low: 64.64±14.25(tool range: 0-130) and 2.94±0.65(tool range: 0-6), respectively; and their average and average mark of the turnover intention were found to be high: 39.95±8.04(tool range: 11-55) and 3.63±0.73(tool range: 1-5), respectively.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32) for the assault response; in age(p=.018), career(p=.030) and working pattern(p=.011) for the burnout; and in age(p<.001), marriage(p=.006), scholarship(p<.001), career(p<.001), wage(p<.001) for the turnover intention. 3)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ssault response and burnout(r=.36, p<.001), between assault response and turnover intention(r=.25, p<.001), and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r=.39, p<.001). The assault response's sub-factors such as emotional, physical/physiological and social respons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burnout's sub-factors such as emotional burnout and dehumanization. The burnout's sub-factors such as emotional burnout and dehumanization were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urnover intention whic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dividual sense of achievement.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ssault respons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tresses caused by assaults related with nurses' jobs and consider some strategies for preventing the burnout derived from their jobs, in order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와 관련된 폭력반응과 소진을 파악하고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와 관련된 폭력반응과 소진을 파악하고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4월 29일부터 5월 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폭력반응은 Lanza가 개발하고 장문정 등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소진은 Maslach와 Jackson이 개발하고 최혜윤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이직의도는 Lawler가 개발하고 김영란이 간호사에 맞게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 Tukey’s HSD test, χ2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폭력반응 정도는 평균74.40±16.66(도구범위: 26-130), 평균 평점 2.86±0.64(척도범위: 1-5)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소진 정도는 평균 64.64±14.25(도구범위: 0-130), 평균 평점 2.94±0.65(척도범위: 0-6)로 중간 이하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 정도는 평균 39.95±8.04(도구범위: 11-55), 평균 평점 3.63±0.73(척도범위: 1-5)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폭력반응 정도는 연령(p=.03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소진 정도는 연령(p=.018), 경력(p=.030), 근무형태(p=.01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이직의도 정도는 연령(p<.001), 결혼(p=.006), 학력(p<.001), 경력(p<.001), 급여(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폭력반응과 소진(r=.36, p<.001), 폭력반응과 이직의도(r=.25, p<.001), 소진과 이직의도(r=.39,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위요인으로 폭력반응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과 신체·생리적 반응, 사회적 반응은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소모, 비인간화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소모, 비인간화는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개인적 성취감과 이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폭력반응과 소진, 이직의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업무와 관련된 폭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업무로 인한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