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is a product of the zeitgeist” is a sight of Le Corbusier The zeitgeist contains history, tradition, culture, technology, social phenomenon and needs of the time of the region of the era. In the present age, the globalism is being c... “Architecture is a product of the zeitgeist” is a sight of Le Corbusier The zeitgeist contains history, tradition, culture, technology, social phenomenon and needs of the time of the region of the era. In the present age, the globalism is being conscientized about unifying the world in the midst of global issues such as environment, natural resources, population problem, development, and others that the world has to deal with. On the other hand, regionalism is wary over cultural standardization in globalism and tend to reinforce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culture. It’s relevant to the phenomenon that trying to find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applying those to modern architecture is recently speeding up. This phenomenon is interconnected with architectural aspect and is receiving attention as an architectural solution to global warming and eco-friendly realiz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Meanwhile, steady increase of the land price, resulting from restricted land area in high-density population cities, makes no distinction between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 and structural change from horizontal space to vertical space is continuously made. It’s because of the need of present age to increase floor area ratio in order to maximize economic value.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three points. 1) Succession of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culture, and effort to develop it(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2) Architectural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 of the earth(wooden architecture) 3) Modern architecture with maximized economic value(multi-flooring) In the second chapter, the answer for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is found by studying structural, spatial, elevation, and roof-top aspect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s research. On the ground of traditional structure method, beam-column elemen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and grasps spatial characteristic of horizontal unit ‘Kan’ and functional unit ‘Chae’. In the third chapter, the examples of contemporarily reinterpreted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spatial, elevation, and roof-top aspects are analyzed and still focused on realizing traditional image and horizontal structure. It compares and analyzes contents mentioned above and suggests construction and expression method with reinterpreted elemental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Modern reinterpretation appears on not only form but also material aspect. It was analyzed as the biggest characteristic tha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uches land but is not joined to it. In order to complement critical weakness of moist wooden architecture, foundation, basement, and joint between land and columns are designed with reinforced concrete. Since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puts massive weight to the building, the roofs were composed of sand, and clay roof tiles. However, modern architecture excluded those from roofs, because excessive roof weight is another fatal weakness in multi-floor-wooden-architecture, Therefore, based on result of research, I suggest design plan of four-story-wooden-architecture Seochon gallery, located between Gyeonbok palace and Inwang mountain.
‘건축은 시대정신의 산물이다’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가 건축의 발생근원을 바라본 시각이다. 시대정신에는 그 시대 해당지역에 흐르는 역사와 전통, 문화, 기술, 사회현상 그리고 시... ‘건축은 시대정신의 산물이다’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가 건축의 발생근원을 바라본 시각이다. 시대정신에는 그 시대 해당지역에 흐르는 역사와 전통, 문화, 기술, 사회현상 그리고 시대적 요구사항이 포함된다. 우리시대에서는 환경, 천연자원, 인구문제, 개발 등 전 지구적으로 해결해야 할 글로벌 이슈를 앞에 두고 전 지구를 일체화 하는 globalism 이 의식화 되고 있다. 반면 지역주의(regionalism)는 globalism 속에서 문화의 획일주의를 경계하고 자기 지역의 문화적 특성, 전통문화를 오히려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한국 건축분야에서 전통건축의 가치와 특성을 찾고 이것을 현대건축에 적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환경적 측면과 맞물려 전통건축의 친환경적 가치구현과 지구온난화라는 환경오염 문제의 건축적 해법 중 하나로 주목 받게 된다. 한편 서울과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의 경우 제한된 대지면적으로 인한 대지가격의 꾸준한 증가로 상업용과 주거용을 구분하지 않고 수평적 건축공간에서 수직적 건축공간으로 구조적인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물의 용적률을 높여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 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의 특성을 계승, 발전 시키고자 하는 노력(전통건축 재해석)과 전 지구적 환경문제의 건축 재료적 해법(목재) 그리고 경제적 가치가 고려된 현대적인 다층 목조건축 구축(tectonic)에 주목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 전통건축의 구조적, 공간적, 입면적 특성 및 지붕층 특성을 문헌연구로 고찰하여 현대적 재해석의 실마리를 찾아본다. 구조는 전통적인 결구법에 의한 기둥-보 방식을 적용하고 평면구조 단위인 칸과 기능 단위인 채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 전통건축의 구조, 공간, 입면, 지붕 요소적 특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예를 문헌연구로 고찰하였으며 여전히 수평적 구조와 전통이미지 구현에 치중하였음을 발견한다 위와 같이 고찰된 내용을 서로 비교분석하고 한국 전통건축의 요소적 특성이 재해석된 구축과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현대적 재해석은 형태뿐만 아니라 재료부문에서도 나타난다. 한국 전통건축은 대지와 접해 있지만 결합된 구조가 아닌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수분에 의한 목조건축의 치명적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초와 지하실, 기둥의 대지와 결합부분은 철근콘크리트로 설계하였다. 전통건축은 건축물 전체에 거대한 하중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비중이 큰 흙과 점토기와로 지붕을 구성하였지만 현대건축에서는 흙과 점토기와를 과감하게 제외 시켰다. 다층 목조건축에서 과도한 지붕 하중은 또 다른 치명적 약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연구된 결과를 기준으로 서울 경복궁과 인왕산 사이 서촌지역에 4층 목조건축물 서촌갤러리 설계안을 제안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