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수시험과 지하수 모니터링을 통한 매립층의 배수불량 원인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When historic sites with cultural assets are located in a hill land surrounded by mountains, the permeability of the soil in the reclamation deteriorates, leading to poor drainage. Subsequent increase in moisture content in reclamation results in mudd...

When historic sites with cultural assets are located in a hill land surrounded by mountains, the permeability of the soil in the reclamation deteriorates, leading to poor drainage. Subsequent increase in moisture content in reclamation results in muddiness on the ground.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auses of poor drainage during rainfall, which could deteriorate the foundation of cultural assets as well as other structures and surrounding landscape. As a result of long-term monitoring on ground water level, the water level variation ranged between 0.40 and 2.28m, and the average level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ranged from GL. -0.22 to 3.64m. There were some places where the ground water level variation was negligible after rainfall, presumably because the water level variation caused by permeation of surface water had little effect on the ground water level variation. The most problematic layer in this study was the reclamation, whose thickness ranged from 0.0 to 2.7m. The permeability test result showed poor permeability at the average range between 2.35 and 3.21 x 10-5cm/sec, which is believed to be a key cause of poor drainage. The surface water monitoring analysis and numerical analysis suggested that flooded areas had poor permeability or poor surface water flow during rainfall. After rainfall, some water was drained but most of it caused ponding due to poor drainage. Over time, flooded areas reduced not only by the small amount of surface water permeated through the ground, but also by evaporation by wind or sunlight. In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dampness and flooding during the rainy season in summer are caused by poor permeability of the reclamation due to a high ratio of fine granules in soil, difficulty in securing a hydraulic gradient due to uneven surface, and naturally high ground water level.

국내 문화재가 있는 유적지와 같은 지역은 과거 산으로 둘러 쌓인 구릉지 등에 분포할 경우 강우시 매립층에 분포하는 흙은 투수능력 떨어져 물이 원활히 배수되지 못하고 표층부의 함수비...

국내 문화재가 있는 유적지와 같은 지역은 과거 산으로 둘러 쌓인 구릉지 등에 분포할 경우 강우시 매립층에 분포하는 흙은 투수능력 떨어져 물이 원활히 배수되지 못하고 표층부의 함수비가 증가하여 지반의 질퍽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우시 배수가 불량하여 유적지에 분포하는 문화재의 기초 뿐만 아니라 구조물 및 주변경관에도 나쁜 영향이 예상되어 배수불량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배수불량의 원인을 파악하기위해 실시한 장기 지하수위 모니터링을 분석한 결과, 수위의 변동폭은 0.40~2.28m였고, 측정기간의 평균수위는 GL. -0.22~ 3.64m의 로 분석되었다. 강우 후 지하수위의 변화가 미미한 곳이 있는데 이것은 강우에 의한 표면수의 침투에 의한 수위변화는 지하수위의 변동에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지층은 매립층으로 그 층은 0.0~2.7m의 층후로 분포하며, 현장 투수시험에 의한 투수시험결과, 평균 2.35~3.21×10-5cm/sec의 범위로 투수성이 불량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것이 배수불량의 주요원인 중에 하나로 판단된다. 지표수 모니터링 분석 및 수치해석결과, 침수구역의 발생은 강우시 지중으로 침투능력이 미미하거나, 지표수 흐름이 불량하여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며, 강우 후 일부는 배수되나 대부분은 배수불량으로 인해 물고임 현상이 발생되고, 시간경과에 따른 침수구간의 변화는 지하로 침투되는 소량의 지표수량 외에 바람 및 태양에 의한 증발로 발생되는 증발량으로 인해 침수면적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여름철 우기시 지반상태가 습윤하고 침수가 되는 현상의 원인은 세립성분이 많아서 투수성이 불량한 매립층, 지표면이 불규칙하여 동수경사가 확보되지 않는 지형적 문제 및 평상시 높은 지하수위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