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 근대 공공건축물의 외관의장 비교연구 : 서울과 장춘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Korea and China hav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cultural similarit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Korea and China formed the hostile relation under the Cold War between East and West and ideolog...

Korea and China hav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cultural similarit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Korea and China formed the hostile relation under the Cold War between East and West and ideological conflicts.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in the system of capitalism while China has been grown under the system of socialism. Even though those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social constitution, both countries have one thing in common that they have a painful history of colony before the liberation in 1945.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Korea and China discarded isolationism due to the new perception of the world circumstances. Signing commercial treaties with many countries, the modernization started. After the enlightenment, modern-style buildings were built up in the middle of traditional buildings. Under the sam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both Korea and China accepted many modern cultures from Japan, and also dealt with the painful colonial period. The effects of this process were fully reflected to society, economy, and architectural culture in these reg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xterior form and design elements of public buildings in Seoul and Changchun during the time period of 1910-1945. Al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things in common shown in the exterior design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and Chin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diverse perspectives, and also to reveal the causes for them. This study summarized the determinants of the exterior design of build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Summarizing the elements of exterior design, the roof, wall, and entrance were largely selected as the standard of analysis. First, roof was divided into form, material, and color. Second, wall was classified into outer wall and window. In case of outer wall, it was divided into decoration material and color while window was divided into style, form, and decoration. Lastly, entrance was classified into canopy and door. In case of canopy, the matter of installing canopy, material, and decoration were analyzed while the form, material, and matter of decoration were analyzed for do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like below.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ade design elements of modern public buildings in Korea and China drew conclusions like below. 1. Roof In the aspect of form, Korea used lots of dome-shaped roof by mainly selecting the western-style exterior expression while China used lots of Chinese traditional tiled roof. In the aspect of material, Korea used diverse materials such as stone slate, bronze slate, and steel slate while China mainly used roof tile. Regarding the color of roof, Korea mainly used white color(stone slate) while China mainly used black color(tiled roof). 2. Wall In the aspect of outer wall decoration, Korea used lots of joints to divide floors while China used lots of patterns containing its traditional elements. Regarding the material of outer wall, Korea mainly used brick and stone while China mostly used tile. In case of color, both Korea and China used diverse colors. In the aspect of window style, China mainly showed film-type form while Korea showed various forms. Regarding the form of window, Korea showed the most cases of mixing the square-shape with arch-shape. In China, the square-shape window was mostly shown. Regarding the decoration of window, the upper/lower part of Korean window used lots of decoration while there were almost no decorations for Chinese window. 3. Entrance Both Korea and China mostly used projected-type canopy. However, Korean canopy mostly applied the decorative elements of the western-style pillar while China mainly used tile for decoration. Regarding the shape of door, window wa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d left/right of the door of both Korea and China. Wood and steel were mainly used as materials. In the aspect of decoration, both Korea and China did not use lots of decoration for door.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researches related to modern architecture of Korea and China. Key words: Japanese Colonial Era, Modern Public Architecture, Facade Design, Manchukuo, Changchun, Seoul

한국과 중국은 예로부터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교류를 해왔다. 이후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과 중국은 동서냉전과 이념대립 속에서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

한국과 중국은 예로부터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교류를 해왔다. 이후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과 중국은 동서냉전과 이념대립 속에서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한국은 자본주의, 중국은 사회주의라는 체제 내에서 서로 다르게 발전해왔다. 두 나라의 사회체질은 다르지만, 1945년 해방 전 식민지로서의 뼈아픈 역사를 지녔다는 점이 공통된다. 19세기 중엽 한국과 중국은 세계정세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한국과 중국이 쇄국정책을 버렸다. 여러 나라와 통상조약을 맺으면서 근대화가 시작 되었다. 개화 이후 근대의 양식건축물들이 한 중 전통건축들 사이에 들어서게 되였다. 한국과 중국은 일제 강점기라는 통일한 역사적 배경 아래 일본을 통해서 여러 근대 문화를 수용하였으며, 식민 지배를 받는 뼈아픈 시기를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받은 영향은 이 지역의 사회, 경제, 건축문화 등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기간을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당시의 서울과 장춘에 건설된 공공건축물의 외관 형태 및 의장요소들을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한・중 일제강점기의 공공건축물 외관 의장에서 나타나는 특징, 차이점, 공통점 등을 분석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이를 들여다보고 동시에 그 이유를 밝히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건축물의 외관 디자인 결정요인들을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 등을 통하여 정리했다. 외관 의장 상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여 분석 기준을 크게 지붕, 벽면 부, 출입구 선정하였다. 첫째, 지붕은 지붕의 형태, 재료 및 색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벽면 부는 외벽과 창으로 분류하였으며 외벽의 경우 외벽의 장식 재료 및 색상으로, 창은 형식, 형태, 장식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출입구는 캐노피와 출입문으로 분류하였다. 캐노피는 캐노피의 설치유무와 재료 및 장식에 대해, 출입문의 경우 출입문의 형태, 재료 및 장식 유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 중국 근대 공공건축물의 외관의장을 요소 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지붕 형태적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은 주로 서양식의 외장 표현을 채택하여 돔 형태의 지붕을 많이 사용하였고, 중국은 중국의 전통기와지붕을 많이 사용하였다. 재료적 측면에서 한국은 석판, 동판, 철판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중국은 주로 기와를 많이 사용하였다. 지붕의 색상은 한국의 경우 백색(석판)을, 중국은 흑색(기와)을 많이 사용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2. 벽면 부 외벽의 장식적 측면에서, 한국은 층간을 구분하기 위해 줄눈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국은 전통적인 요소를 담은 문양들을 많이 사용하였다. 외벽의 재료는 한국의 경우, 주로 벽돌과 석재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대부분 타일을 사용하였다. 색상은 한국과 중국 모두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였다. 창의 형식적 측면에서 중국은 주로 피막형 형태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창의 형태는 한국의 건축물들 중 사각형과 아치형 창을 혼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중국은 사각형 창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창의 장식은 한국 창의 상・하부의 경우 장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국은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출입구 한국과 중국은 대부분 돌출형 캐노피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캐노피는 전형적인 서양 양식의 기둥이 장식적 요소로 많이 적용되었으며, 중국은 주로 기와를 사용해 장식하였다. 출입문 형태는 한국과 중국 모두 출입문의 상부와 좌우에 창을 설치하였다. 재료는 목재와 철을 주로 사용하였다. 장식적 측면에서는 한국과 중국 모두 출입문에 장식이 많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중국 근대건축과 관련된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