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박완서 소설의 여성의식과 형상화 연구 배 숙 자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의 여성의식과 형상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박완서 소설의 주인공은 거의 대부분이 여성들이다. ... 국문초록 박완서 소설의 여성의식과 형상화 연구 배 숙 자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의 여성의식과 형상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박완서 소설의 주인공은 거의 대부분이 여성들이다. 소극적이고 순종적인 여성들도 등장하나, 뿌리 깊은 가부장제로 말미암은 남성중심문화의 부당함 속에서 갈등하고 저항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들이 펼쳐져있다. 근대로부터 현대까지 작가의 자전적인 체험과 더불어 시대적 현실을 반영하여 천의무봉이라 일컫는 특유의 유려한 필체로 독자들을 사로잡아 왔다. 본고는 박완서의 문학작품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여성의식과 형상화 방법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여성의식의 변화 양상에서는 첫째, 근대여성으로서의 자아 각성과 ‘신여성’의 허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시골의 무지로부터 벗어나 교육만이 새로운 삶을 가져다 줄 것을 확신한 어머니의 교육관과 가치관은 박완서의 근대의식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전쟁상황 속의 모성의 구현과 그 비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쟁으로 인한 아들의 죽음은 모성의 존재목적을 표류하게 만든 것을 본다. 셋째, 1970년대 여성의 자의식 변화와 이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뿌리 깊은 가부장제 관습에서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찾아 나아가는 긍정적인 인물과, 아울러 배금주의에 사로잡혀 세속적 욕망에 이끌리는 부정적인 인물들을 내세워 세태를 비판한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민주화 과정 속의 여성의 자각의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민주화 운동의 주변부에 있는 여성 화자들의 의식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것의 중심부에서 한 발 물러나 삶을 관망하는 노년여성들이 어떻게 정체성을 찾아 나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형상화 방법의 특성에서는, 첫째, 수다, 넋두리, 진솔한 내면 고백으로서의 언어가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문체를 대상으로 인간 본연의 정서를 공감케 하는 작가만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억척스러울 정도로 인간의 심리를 파헤쳐 적나라하게 묘사하는 방식은 겹겹이 싸여 있는 여성 특유의 내밀한 의식을 표현하는 데 적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체험적 자아의 시점으로 유년시절과 아울러 여성의식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그리움과 회상의 정서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부분을 고찰해보았다. 셋째, 이야기 또는 삽화를 중심으로 서사화된 플롯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작품의 대부분이 1인칭 서술자나 전지적 서술자로 서술되어 감각적 이미지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작가의 독특한 구성방식이며, 인물들에게 나타나는 극심한 내면의 갈등처리를 통해 진정한 화합을 이끌어내는 반전의 구성도 간과할 수 없다. 위에 제시한 형상화의 방법을 통하여 작가의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표면화되지 않았던 여성들의 욕망과 속내를 드러내며 주제의식을 구현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전개 양상과 이것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차후 이와 관련된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 ※ 본 논문은 2016년 11월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