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가사 내에 나타난 한ㆍ영 code-switching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중가요인 K-pop의 노래 말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한국어⋅영어의 언어 혼용, code-switching을 분석하였다. 최근... K-pop 가사 내에 나타난 한ㆍ영 code-switching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중가요인 K-pop의 노래 말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한국어⋅영어의 언어 혼용, code-switching을 분석하였다. 최근 K-pop에는 약 60% 가까운 소절에서 전적으로 영어를 사용하거나, 혹은 한국어와 영어의 혼용 형태인 code-switching을 활용하여 영어 가사가 적극적으로 한국 가요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객관적인 선정에 의해 만들어진 최근 K-pop을 연구 자료로 하여 현대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한국어와 영어 가사 code-switching 부분을 형태적, 통사적으로 분석하여 양상을 고찰하고, 이것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먼저 K-pop 가사 code-switching 영어 부분의 형태론적인 특성은 첫째, 구어형 변이 영어 사용, 둘째, 미국 흑인 변이형 영어의 사용, 셋째, 한국식 영어의 사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통사론적 특성 연구에서는 모든 언어 간의 code-switching에서 통사론적으로 적용된다는 두 이론 Poplack(1980)의 자유형태소 제약과 등가제약, Myers & Scotton(1990)의 기저언어 프레임모형을 K-pop 가사 한국어⋅영어 간의 code-switching에 적용하여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Poplack(1982)의 자유형태소 제약은 특징적으로 어미와 조사가 발달한 한국어와 영어 간에는 지켜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등가제약 역시 기본적으로 어순구조가 상당히 다른 한국어와 영어 간에는 지켜지지 않는 예외를 상당수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Poplack(1982)의 두 원칙은 한국어와 영어처럼 유형론 적으로 그 구조가 완전히 다른 언어 간에는 지켜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yers&Scotton(1990)의 기저언어 프레임 모형의 첫째는 형태소 순서원칙으로 표면 형태소 순서는 기저언어의 순서를 따르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는 문법 형태소 원칙으로서, 통사론적으로 문법형태소는 기저언어에만 나온다는 원칙이다. 이 두 원칙을 적용해 양상을 분석한 결과, 형태소 순서 원칙은 한국어와 영어 가사에서는 원칙에 어긋나는 예외가 다수 나타났으며, 특히 문두와 문미에서 삽입언어인 영어의 어순을 따라 원칙을 깨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는 대중에게 익숙한 영어의 어순을 그대로 가사에 옮겨오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설명되어진다. 둘째, 문법형태소 원칙 적용 결과, 문법형태소 어휘들이 삽입언어로 나타나 원칙에 적용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언어의 유형론적인 특징에 따라 code-switching은 각기 다른 통사론적 원칙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에 앞으로 code-switching의 보편적인 규칙을 찾는 연구에서 유형론적인, 혹은 문화적인, 언어 외적인 요소들이 고려되어 언어혼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K-pop 가사 한국어⋅영어 code-switching이 갖는 기능으로는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첫째, 강조적 기능으로 의미를 강조하거나 반복을 통한 각인의 효과를 주는 강조적 간투사 등이 포함된다. 둘째, 친교적 기능으로 상대와의 친밀함, 유대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셋째, 운율적 기능으로 노래 가사가 지닌 중요한 기능인 라임(Rhyme)을 맞추어 주기 위한 기능을 뜻한다. 넷째, 사회적 기능은 K-pop의 주 소비세대인 10-20대 세대들의 집단 연대감을 표현 하려는 목적의 기능이다, 다섯째, MAW 기능으로 한국어보다 영어로 표현할 때가 더 적절하다고 판단해서 의도적으로 영어를 혼용한 경우로 직설적인 표현, 선정적인 표현을 영어로 우회적으로 표현한 경우 등을 들 수 있겠다. 한국의 음악이지만 세계가 듣고 즐기는 문화로서 자리매김해 가는 K-pop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한 것은 말할 필요가 없는 사실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의 가사에서 점점 더 커져가는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혼용 부분인 code-switching이 어떠한 규칙과 기능,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언어적으로 객관적인 분석을 통한 양상을 고찰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de-switching appeared in K-pop Korean⋅English Lyric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de-Switching which is appeared frequently at the mixture of Korean ⋅English of K-pop. Lately, about 60 percent of 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