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공간에서 주거지역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도시의 확장 및 성장을 주도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도시민에게 양호한 주거지역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도지역제가 필... 도시 공간에서 주거지역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도시의 확장 및 성장을 주도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도시민에게 양호한 주거지역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도지역제가 필요하다. 용도지역제는 도시 개발의 근간이 되는 제도중 하나이며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용도지역제의 획일적 적용으로 본래의 정책적 의도와 다르게 사용되는 토지이용 혼재 현상이 도시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토지이용의 혼재는 비정상적인 건조 환경을 조성하게 되며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명칭과 함께 사회적 문제로서 주목 받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을 동반한 주거지역의 상업화는 해당 주거지역에 거주하는 도시민의 주거환경을 악화할 뿐만 아니라 기존 원주민들의 비자발적 이동과 공동체 붕괴 등의 악영향을 동반한다. 이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면적으로 적용되는 제도·정책이 아닌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는 입체적 제도와 정책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화가 발생하는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1) 주거지역 내 상업화 과정 및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2) 주거지역 상업화 과정의 공간적 특성이 어떠한 요소들과 관계를 갖는지를 파악하여 주거지역 상업화 과정의 공간적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 상업화 및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음식점의 입지를 바탕으로 상업화 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문화시설의 입지를 주거지역 상업화 및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촉진 요소로 가정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음식점 입지 및 특성 정보는 구청 보건위생과에서 제공되는 식품위생업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문화시설의 경우 E-mail 인터뷰 및 방문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식품위생업소는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각각을 연구 기초자료로 이용하였다. 음식점들의 위치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GIS를 이용해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주거지역 상업화 과정을 시각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문화시설의 분포도 음식점과 같이 GIS를 통해 시계열적으로 공간적 입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주거지역 내 음식점의 확산 즉, 주거지역 상업화가 문화시설 입지와 공간적 특성을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지인 경복궁 서측 주거지역은 상업화 과정이 일어나고 있으며 주요 도로를 따라 확산되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휴게음식점이 집중적으로 입지하는 몇몇 도로들은 고도의 상업화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공간회귀모형 분석 결과에서 음식점 입지는 문화시설의 입지와 공간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추후 연구대상지 주거지역 상업화 관리방안 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으며 특성 시설의 입지를 고려한 대책의 필요성을 시시한다. 추후 본 연구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활용한 문화시설의 입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설에 의한 주거지역 상업화 과정 및 특성과의 공간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uniform application of zoning system in recent cities has caused confusing building use in cities. Furthermore, this confusing has been occurred in residential land. This phenomenon is called as ‘Gentrification’ The ‘Gentrification’ cause ... The uniform application of zoning system in recent cities has caused confusing building use in cities. Furthermore, this confusing has been occurred in residential land. This phenomenon is called as ‘Gentrification’ The ‘Gentrification’ cause activation or commercialization. But, in residential area, the commercialization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area(Residence to Commerce) These recent trends change residential area to high-commercial area, and collect a floating population. Finally, most of residential building are used to commercial facilities for external visitors. In many studies, these ‘Gentrification’ has relationship with location of the cultural facilities. So, in this study finds out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ized residential area and cultural facilities location. The residence areas of west-side of Gyeongbokgung Palace in Seoul, Korea (Seochon) have been changed to commercial areas. Thus, this study focused on restaurant and galleries in west-side of Gyeongbokgung Palace in Seoul, Korea. The analysis methods are spatial pattern analyses to interpret the spatial pattern of subjects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ization and gallery locations. The findings are that first, the restaurants and galleries are expanded to the ‘Ogin-Gil’ since 2007. Second, the spatial density of restaurants has relationship with galleries’ area.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restaurant location was similar to ordinary theory about location characteristic of commerce. And restaurant location has spatial relationship with scale of galler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