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학의 지적 구조 분석 연구 :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Since 1945, dance studies has been adopted as an official subject in universities of Korea, and they have been positioned as the field of studies in th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dance...

Since 1945, dance studies has been adopted as an official subject in universities of Korea, and they have been positioned as the field of studies in th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dance studies have taken and how they changed from 1958 to 2016, and to determine the current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dance studies systematically and visually. The data of dance studies have been produced through diverse research activities in dance field. I defined them as the text data contained in the original PDF titles, abstracts, and main texts of 20,776 cases of dance studies, written from 1958 to 2016. Also I defin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nce studies as the information structure which is syste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relationships after determining the significa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text of dance studies. The study has four stages according to text mining analysis: first, collecting data of dance studies and developing the big data database system, second,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m, third, classifying the information by subjects, fourth, visualiz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diverse methods for knowledge discovery, the text mining technique associated with the system development for big data analysis was confirmed as a useful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nce studies. Second, the morphemic analysis and frequency test of 20,776 cases of dance studies data created from 1958 to 2016 revealed 210,104 nouns, 1,184,379 proper nouns, etc. Third, the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by time revealed that dance movement(Chumsaiwi) and exorism(Gut), perceived as important concepts in the initial dance studies, gradually decreased in importance. Fine arts had been perceived as important in the studies, but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was perceived as more important than fine arts in 2011~2016. Education was perceived as a major function that dance could contribute to society. Also, recently, dance for elderly people was perceived as important. In addition, the Community dance, the Korean wave, social media, archive, and YouTube emerged as new knowledge information in recent dance studies, confirming that the social trend of IT and contents industries have had a influence on dance. Fourth, the extra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of dance studies revealed that Muyong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stage arts an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Chum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arts and cultures. Dance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leisure activities and sports. Besides, 64 types of dance movemen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extraction of relationship. Fifth, the information of dance studies were classified by studies/research, culture arts, Muyong/Chum, figure, body, expression factors, institution/place, times/region. It also consisted of 8 top-category items, 62 medium-category items, and 3,103 low-category items as the form of hierarchical dictionary. In addition, regarding 3,173 items of the dictionary, 19,114 cases, 92% of 20,776 cases in dance studies had relational information. Sixth, in the semantic network of Muyong, Chum and dance, the centrality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ey information was Muyong, fine arts, education, society, culture, body, expression, dance piece, and diversity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dance studies. In conclusion, research on Korean dance studies should try to establish the knowledge relations of dance as pop culture, sports,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pure arts.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body expressions an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dance are perceived as important research themes, and thus, practice-based․movement-based․educational application-based research are deemed to continuously attract attention. This study is the first doctoral-degree thesis focusing on intellectual structure and big data analysis in the Korean dance field.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ata analysis methodology applicable to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nce and arts studies.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establish the intellectual structure as well as the identity of dance studies in Korea.

1945년 무용이 한국 대학의 정식 교과목으로 도입된 이후, 무용학은 대학에서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해왔다. 본 연구는 1958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의 무용학이 어떠한 지적 구조를 형성하...

1945년 무용이 한국 대학의 정식 교과목으로 도입된 이후, 무용학은 대학에서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해왔다. 본 연구는 1958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의 무용학이 어떠한 지적 구조를 형성하며 변화해왔는가를 파악하고, 무용학 지적 구조의 현 모습을 체계적․시각적으로 드러내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무용학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무용학 연구 60년에 가깝게 축적된 무용학 지식 정보과 정보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무용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모든 학문 분야가 그렇듯이, 무용학에 대한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학문의 위상 및 이론 구축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제다. 따라서 학문의 지적 구조를 밝히고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무용학의 특성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무용학 지식 창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학 자료로서 텍스트는 무용에 관한 다양한 지식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식 정보의 중요도는 시대적․사회적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국내 석사․박사학위논문, 학술지, 한국연구재단(NRF) 보고서 등으로, 1958년부터 2016년 사이에 집필된 20,776건의 무용학 자료에 대한 원문 PDF 제목, 초록, 본문에 속해있는 텍스트 데이터로 규정하였다. 무용학 지적 구조는 무용학 텍스트에서 추출한 유의미한 정보 간의 관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된 정보 구조이자, 구조들의 집합으로 규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4단계로, 무용학 자료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정보 추출, 정보 분류, 정보 시각화에 따른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시기별로 무용학 주요 지식 정보의 특징을 파악하고, 지식 구조의 변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난 핵심 정보는 무용, 연구, 춤, 한국, 교육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기별로 1기에는 춤사위, 굿, 탈춤 등 한국 무용 영역, 2기에는 표현, 전공, 작품, 댄스, 3기에는 스포츠, 무용수, 사회, 프로그램, 4기에는 참여, 여성, 신체, 관계, 5기에는 예술, 공연, 수업, 6기에는 프로그램, 작품, 문화, 창작이 핵심 정보로 부각되었다. 특히 무용이 교육, 예술, 스포츠, 대중문화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신체 치료 및 건강, 커뮤니티 댄스를 중심으로 한 21세기 인간적 소통의 대안으로서 다각도로 기능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둘째, 시기별 무용학 구조에 나타난 핵심 지식 정보 및 특징적 지식 정보에 대한 관계성 분석을 통해 무용학 내에서의 관계적 개념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무용은 무대 예술과 교육의 측면, 춤은 전통예술과 문화적 측면, 댄스는 여가 활동 및 스포츠로서의 관계성이 높게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주요 지식 정보로 나타난 단어들을 바탕으로 무용학 사전을 구축하여 무용학 지식 분류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학문/연구, 문화예술, 춤/무용, 인물, 몸/신체, 표현 요소. 기관단체/장소, 시대/지역의 대항목 8개, 중항목 62개, 소항목 3,103개 등 총 3,173의 키워드의 계층형 사전 형태로 무용학 지식을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무용학 지식 분류 체계인 택사노미를 기반으로 정보 간의 관계를 의미망으로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연결성, 근접성, 매개성이 가장 높은 정보는 무용으로 확인되었다. 연결성과 근접성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난 항목은 예술, 교육, 사회·문화, 신체, 표현, 작품, 다양성이었다. 매개성이 높은 항목은 예술, 교육, 문화, 신체, 표현, 공연, 작품, 지도, 여자,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무용학의 지식 구조에서는 핵심 정보인 무용을 중심으로 예술, 교육, 문화, 신체, 표현, 작품, 다양성이 무용학의 연구주제이자 다른 분야와 융합이 용이한 키워드로서 영향력과 중요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무용학의 중심 과제는 신체를 매개로 한 예술․교육 활동으로 순수예술, 대중문화, 생활체육, 스포츠 등 사회․문화적 범주의 의미 관계 사이에서 학문적 지식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시대를 맞이하여 사람 간 소통의 대안이 될 수 있는 무용의 역할을 조명하고, 무용과 디지털 기술의 접목, 무용 참여에 있어 남녀의 성별 격차 해소, 인구 고령화에 따른 무용 프로그램의 개발 등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학 분야에서 학문의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한 첫 시도로서, 무용학의 시기별 연구 관심사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무용학 지적 구조를 시각화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무용학 지적 구조의 거시적 조명은 빅데이터 분석의 장점이자 본 연구의 의의인 반면, 특징적으로 부각되지 않은 무용학 세부 분야에 대해 살피지 못했다는 한계점이기도 하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학 지적 구조 분석의 토대를 마련하고, 무용을 비롯한 예술학 분야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가치를 두고자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