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교육직의 잡크래프팅에 관한 질적 연구 :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fessional lecturers engaged in art and culture education recognize and define their job as meaningful and constitute job related self – identity.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s in this study were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fessional lecturers engaged in art and culture education recognize and define their job as meaningful and constitute job related self – identity.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s in this study were be found to be individuals who are constantly striving to survive in postmodern modern society as educators as artists. They as artists have a utopian view of art, and live with a sense of purpose to pursue the essence. They go beyond the boundaries of art and non-art, aiming at empiricism based on what they have actually experienced, intuitively change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make new and diverse attempts to improv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y are pursuing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diversity, and through this education, they can gain the artistic impression of their experiences and value their duties. Although the essence of their art is ideal, they try to live a life of balance and harmony with re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lecturer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make a positive effort to change the boundaries of their own duties and make their duties more meaningful, as well as to make social efforts to identify and improve their position in the process of the creation called art. In the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is emphasized and the demand of the market for culture and art is socially necessary, but the social arts support policy is not formed sufficiently.   Through this research, we are expected to support the artistic support policy properly and systematically,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artist and to expect that the function of education as a job itself will be carried out smoothly. And as an artist they have, they are able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devote themselves to artist activities.

어느 예술가나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창작활동의 전념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많은 젊은 예술가들은 예술계의 주변에서 예술가로서의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일부는 ...

어느 예술가나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창작활동의 전념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많은 젊은 예술가들은 예술계의 주변에서 예술가로서의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일부는 국가의 지원제도에 의존하여 예술 활동에 전념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젊은 예술가들은 경제적 목적으로 예술과 무관한 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화예술 교육직은 대표적인 그런 부류의 예술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근거해서 볼 때, 문화예술교육 및 지원 정책의 측면에서 문화예술 교육직의 예술가 및 교육자로서의 활동과 그들의 일의 세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 교육직의 종사하는 예술가들은 교사라는 경제적 필요에 따른 직업인인 동시에 창작활동에 몸담고 있는 예술가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화예술 교육직에 종사하는 이들이 교육활동과 예술활동 간에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구체적이고 경험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예술가로서 문화예술 교육직 종사자들이 자신의 직무를 어떻게 인식, 규정하고 직무관련 자기정체성을 구성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가로서 교육자인 문화예술 교육직의 강사들과 교사들의 정체성과 어떻게 잡크래프팅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그들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인원은 경력5년 이상의 문화예술교육강사 및 교사 6명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예술을 전공하고 예술가활동 또는 수업강의를 하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예술가활동과 함께 각각 다른 경력을 가진 문화예술 강사와 교사를 선정하였고 예술교육 전문 강사 및 교사들의 경력은 5년에서부터 20년이다.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접근을 하였고, 인터뷰속의 밝혀지는 그들의 이야기와 경험의 본질들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인터뷰에 참가한 참여자들은 예술가로서의 교육자로 지식기반의 현대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개인들이라는 걸 발견할 수 있으며 그들을 통해서 현실과 이상의 내적 갈등과 긴장 속에서 균형을 추구하는 핵심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들은 예술가로서 유미주의적 예술관을 갖고 본질을 추구하려는 목표의식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다. 또한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자신이 실제로 경험한 것들을 통해서 얻은 경험주의에 입각한 교육을 지향하고 직관적 교육을 실천하며 항상 새롭고 다양한 시도를 한다. 즉, 차별화된 교육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개인적 경험의 예술적 감동을 얻을 수 있게 하고 그들의 직무를 가치 있게 하고 있었다. 그들은 혼재된 예술가의 정체성 속에서, 교육자로서의 직무를 통해 예술가로서 본질을 추구하려는 목표의식과 예술관을 갖고 다시 정체성을 구성 하게 된다. 그리고 예술가로서, 또는 교육자로서의 각각의 포지션에 맞게 그들의 직무를 구체적 목적에 맞게 재설계 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에게 단순한 주입식이 아닌 잠재력 발현하도록 유도하고 예술에 대한 친근한 마음을 형성시키며 개성과 표현력을 길러주는 등 그들의 직무에 대한 유의미성을 발견한다. 그러한 자신들의 인지적 과업경계를 통해 기존의 직무를 변화시킨다. 경험주의에 입각한 새롭고 다양한 시도를 하며 수업계발 등 수행적 실천들을 통해서 개인의 발전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현실과 이상의 내적 갈등과 긴장 속에서 균형을 추구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지식기반의 현대사회는 문화예술의 중요성과 창의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문화예술을 이끌어 가는 교육직 강사 또는 교사들에 대한 정교한 질적인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예술가로서 문화예술 교육직 종사자들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나아가 문화예술 교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