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화유산의 전통공간 및 고유성을 바탕으로 귀화식물 식재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여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그에 따른 제안사항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문화유산의 전통공간 및 고유성을 바탕으로 귀화식물 식재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여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그에 따른 제안사항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궁은 500여년의 시간동안 한 왕조를 이끈 수도 서울의 상징적 역할을 했던 궁궐로서 조선의 개국과 함께 창건되어 한나라를 다스리는데 부족함 없는 면모를 갖췄던 곳으로 현재까지도 우리나라의 대표 관광지 및 교육의 장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만큼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때 묻지 않은 향토성 등에서 다른 문화유산보다 훌륭한 볼거리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세부적인 면을 살펴보면 전통성 및 향토성과 다소 거리가 먼 경관요소가 발견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귀화식물의 도입 및 교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귀화식물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류군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지는 4대 고궁(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 및 종묘이며, 데이터 수집 및 답사를 통하여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후 분류군, 원산지, 생활형, 귀화도 및 도입시기에 따라 정리하고 각 대상지별 귀화율을 조사하여 생태계 교란 지수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인 귀화식물 관리 및 위해식물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4대 고궁 및 종묘의 전체식물상은 82과 201속 285종 1아종 29변종으로 총 31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귀화식물은 경복궁 21분류군, 창덕궁 11분류군, 덕수궁 33분류군, 창경궁 11분류군, 종묘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상지별 생태계 교란식물은 경복궁에 돼지풀, 서양등골나물 2분류군, 창덕궁에 가시상추 1분류군, 덕수궁에 돼지풀, 서양등골나물, 애기수영 3분류군, 창경궁에 단풍잎돼지풀 1분류군, 종묘에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체 귀화식물의 귀화도를 분석한 결과 5도의 귀화도를 가진 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시기는 3기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의 경우, 5개 대상지의 평균 귀화율은 12.9%로 우리나라 산림의 평균 귀화율인 10.0%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대상지의 유사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덕수궁과 종묘의 유사도지수가 5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40% 이상의 상호간의 유사도 지수가 분석되어 4대 고궁 및 종묘의 귀화식물 종류 구성이 40% 이상 유사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4대 고궁 및 종묘의 귀화식물 관리방안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귀화식물에 대한 위해성을 인지하고 배제하기 위한 노력과 자생종 및 향토종의 식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 경관을 만들어 나가려는 의식이 필요하다. 둘째, 귀화식물은 의도되지 않은 정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터나 비경작지에서의 생장이 예상되며 이에 따른 예방에 주력해야 한다. 또한, 제거된 확산종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제거 후 회복지수(RRI: Remove-Recover Index)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있어서 귀화식물이 제거된 자리에 대체할 자생식물 개발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문화유산의 특성, 향토성 등을 감안하는 수종에 대한 측면에서 향후 이를 보완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