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의 장소성 연구 : 한국 특수적 의미망과 권력 작용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ways th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IIC) exists as ‘a Place’ in the society of Republic of Korea(Korea) today. To reach the goal, first, the study premises that IIC is a socio-political construct, which means it i...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ways th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IIC) exists as ‘a Place’ in the society of Republic of Korea(Korea) today. To reach the goal, first, the study premises that IIC is a socio-political construct, which means it is under periodic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and secondly the study points out the fact that IIC is a ‘national border-gateway place’, and on this grounds the study attempts to apply the topic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by the established ‘Placeness Theory of Airport’: Subject, Object, Power.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in this direction, the author intended to look through ‘social discourse’ of IIC, that is the style in which it has been reflected by the press, public relations and promotions. The social discourse formation of a place is one of the means by which times, environment, social distinctiveness etc. of the place are re-producted by social subjects, and therefore it helps to demonstrate the social stance and point of view about the place. In fine, the study intended to review the social discourse formation of IIC as a social construct, to draw meaningful outputs from it, and to condignly elucidate the peculiar features in IIC.
In accordance with these points,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author appraised the existing ‘Airport Placeness theories’, pointed out the deficiency of these being so for ‘International Airport’ today, and finally drew a suggestive methodology for explaining ‘the Placenes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Chapter 2, the above-mentioned social discourse, the trend of the rhetorics and images through IIC has been expressed in the press and self-promotions from 2001, the opening, to 2015, today, were analyzed. For this analysis, the study checked the media s and methods of self expressions from 1980's, when the Metropolitan New Airport Development was discussed, to 2001, when the land for the new airport was determined in 1989 and IIC officially opened. Through this process, some characteristic discourse-elements were shown and therefore the author attempted to assort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and identified that these elements organically combine into a single dominant semantic network: ‘identification with Korea.’
In Chapter 3, the author argued that IIC operating subject ‘represents’ this semantic network, ‘identification with Korea’, by means of the cultural activities, that is practice in this place. Along with this issue,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se cultural events were closely considered. Added to this discussion, a ‘inclusion/exclusion’ logic in ‘national border-gateway place’ of IIC was discussed and consequently the author reasoned out that the aforementioned semantic network could function as ‘a superior subjective power' over the individual subjects related to IIC, particularly in ways of ‘re-subjectification’ or ‘objectification.’
Being contrasted with the traditional place such as places for ‘dwelling’, ‘house/home’ or ‘root’, ‘Airport’ has been contemporarily regarded as ‘place for mobility’, ‘place for waiting’ etc. However with the mobility escalating further and the travel range expanding almost reaching to the infinite, the experience of ‘airport place’ is being increasingly generalized to modern individual subjects. In this world-periodic condition, there is a necessity for airport place to be noted in new ways and stances, and narrowly examining IIC in Korea will be a meaningful try as a step for it.

본 논문의 목적은 인천국제공항이 하나의 장소로서 현재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피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인천국제공항이 사회정치적 구성물로서 한국의 시...

본 논문의 목적은 인천국제공항이 하나의 장소로서 현재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피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인천국제공항이 사회정치적 구성물로서 한국의 시대적, 문화적 맥락에 영향 받는 장소라는 점을 전제로 하였고, 둘째, 인천국제공항이 ‘국가 경계-관문 장소’라는 점을 바탕으로 기존 공항 장소성 논의로는 설명되지 않았던 ‘주체, 객체, 권력’의 논의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향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인천국제공항이 언론, 홍보 등에 의해 표상되는 방식, 즉 ‘담론화(談論化)’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 장소에 대한 사회적 담론화는 해당 장소에 대한 시대, 상황, 특수성 등이 사회적 주체에 의해 재현되는 방식 중 하나로, 한 장소에 대한 사회적 입장과 시각을 잘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결국 본 논문은 인천국제공항이라는 사회구성물로서의 장소가 담론화되어 온 방식을 살피고 이를 통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한 뒤 인천국제공항에서 특수하게 나타나는 양상에 대해 적절히 설명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제1장에서 기존 공항 장소성 논의를 간략히 살피고 오늘날 국제공항 장소성을 설명하기에 부족한 점을 짚고 이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을 설명하기에 유의미한 방법론을 도출한다. 제2장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이 2001년 개항부터 2015년 현재까지 언론과 자기 홍보 등을 통해 수식어, 이미지 등으로 표현되는 추이, 즉 담론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따라서 1980년대를 전후로 하여 수도권 신공항 건설이 논의되던 시기부터 1989년 영종도로 신공항 부지가 확정되고 마침내 2001년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기까지의 언론 보도와 홍보 방식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과정을 통해 인천국제공항 담론화 양상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담론 요소들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담론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지배적 의미망을 형성한다는 것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지배적 의미망이 인천국제공항 운영 주체의 문화 행사, 즉 실천(practice)에 의해 ‘재현(再現)’됨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문화 행사의 주체와 객체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에 더해 인천국제공항이라는 ‘국가 경계-관문 장소’에 내재하는 ‘포함/배제’ 논리를 함께 살폈으며 그 결과 앞서 검토한 지배적 의미망이 인천국제공항과 관련한 개인 주체들을 ‘재주체화’ 혹은 ‘객체화’ 함으로써 ‘상위주체권력’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현대인에게 ‘공항’ 장소는 ‘거주’, ‘집’, ‘뿌리’ 등의 장소, 즉 전통적 장소와 대비되는 ‘이동의 장소’, ‘대기하는 장소’로 자리잡아있다. 그러나 이동성(mobility)이 더욱 높아지고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무한에 가까워지는 오늘날 현대인에게 공항 장소 경험은 점점 더 보편적인 것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공항 장소는 새롭게 조명 받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의 제1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의 특수성을 면밀히 살피는 것은 이를 위한 단계로서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