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연길지역 방언을 고유어와 차용어의 측면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조선족이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가 연길이므로 본 논문의 방언연구 중심지를 연길로 정하였고, 어휘...
본 논문에서는 연길지역 방언을 고유어와 차용어의 측면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조선족이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가 연길이므로 본 논문의 방언연구 중심지를 연길로 정하였고, 어휘를 위주로 하여 고유어와 차용어 측면에서 방언 체계를 세우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조선족 방언체계를 명확하게 밝히는 일에 기여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조선족 1세대들은 이국땅인 중국으로 이주해오면서, 1세대를 비롯한 후손들은 원적지 방언을 그대로 사용한 고유어 방언을 지니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고유어를 중심으로 방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최근 중국의 계속된 동화 정책으로 한족과의 혼재 지역이 늘어나고 있으며, 조선족들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로의 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 지역 내 한족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변 자치주의 경우에는 이미 조선족과 한족의 비율이 4:6정도로 한족의 비율이 높다. 이로 인하여 중국어 차용 방언들이 점차 보편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차용어를 중심으로 방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물론 중국어뿐만 아니라 일본어, 한국어의 차용 방언도 함께 연구할 것이다.
연변지역의 조선어는 한국과 중국의 학자들에 의해 그 동안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연구의 관심이 조선어 표준어의 음운과 어휘 형태에만 집중되어 있다. 물론 조선어의 특징이 표준어 어휘의 음운과 형태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조선어 실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방언 연구 역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특히 방언 연구를 바탕으로 방언의 역사적 배경부터 살펴보고, 방언의 형성과정과 그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이야 말로 조선족의 역사 및 삶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지름길이라 판단된다. 또한 방언연구를 통해 조선족의 언어생활을 파악하는 일이 궁극적 목표이며, 조선족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