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의 일상 생활이나 습관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전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국민학교 어린이들은 공부를 어떻게 하고 있으며, 무슨 놀이를 하면서 생...
어린이들의 일상 생활이나 습관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전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국민학교 어린이들은 공부를 어떻게 하고 있으며, 무슨 놀이를 하면서 생활하는가를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분석하여 국민학교 어린이들의 실제의 삶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국민학교 어린이들은 공부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
둘째, 국민학교 어린이들은 학교와 마을에서 어떤 놀이를 하고 있는가?
설정된 연구 문제를 밝혀 보기 위해 문화 기술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관찰과 주요 제보자와의 면접 및 일기 분석을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하고 있는 공부 활동에 관한 것으로
1.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생각하고 실지하고 있는 공부란 선생님이 내주는 숙제를 하는 것과 상업용으로 된 문제지 푸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대부분 부모의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2. 국민학교 어린이들의 공부 방법은 복습을 주로 하고 있으며, 교과서와 참고서 이외의 책은 잘 읽지 않으며, 복잡하거나 깊이 생각하는 문제는 싫어한다.
3. 국민학교 어린이들은 거의 매일 시험에 대한 부담을 안고 공부하며, 어떤 목표가 뚜렷한 어린이는 중압감을 이겨내며 열심히 공부하나 그렇지 못한 어린이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위압감에 어쩔 수 없이 공부를 하고 있으나, 공부나 시험은 지겨운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4. 국민학교 어린이들의 시험 공부 방법은 상업용 문제지를 풀어 보는 것이다. 그들은 누가 문제지를 많이 풀어 보고, 여러 종류를 풀어 보았는가에 따라 시험 점수에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고 있다. 시험 점수 높은 어린이가 공부 잘하는 어린이로 인식하고 있다.
5. 학교에서 어린이들이 공부하도록하는 일반적인 조건은 장학금 제도와 숙제 내주는 것, 임원 자격 부여이다. 이런 조건에 잘 적응하는 어린이는 공부를 열심히 하고, 그렇지 않는 어린이는 열심히 하지 않는다.
6. 국민학교에서 성적은 차별 대우하는 것으로 활용되며, 이 성적 사정은 지필 평가 점수가 주 요소가 된다.
둘째,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하고 있는 놀이에 관한 것으로
1. 국민학교 어린이들은 시간만 나면 장소와 도구에 별 구애됨이 없이 64가지 정도의 놀이를 한다.
2.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하고 노는 놀이의 특징으로는
첫째, 性 구별없이 놀이를 하고 있다.
둘째, 어른들의 생활을 흉내내는 놀이를 하고 있다.
셋째, 실내에서는 주로 상품으로 된 놀이 기구를 가지고 논다.
넷째, 외국어로 표현된 놀이 이름이 많다.
다섯째, 한가지 놀이를 지속적으로 하지 못한다.
여섯째, 같이 놀이를 하면서도 상하 위계성을 지킨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몇가지 논의를 하자면,
첫째, 국민학교에서는 등수와 점수에 억매이지 않을 교육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평가 방법을 어떤 목표를 달성 했는가 못했는가를 측정하는 평가 방법으로 전환함이 좋을 것이다.
둘째, 국민학교에서 공부의 핵심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학문의 즐거움을 맛보는 기회 제공에 둘 필요가 있다. 타율에 의한 공부 습관 때문에 외부의 압력이 조금만 소홀해지면 다른 방향 (공부를 하지 않는것)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
셋째, 어린이들이 하는 놀이를 못하게 규제하는 것보다는 적당히 놀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 놀이에 외래어가 범람하는 것은 주로 상품으로 된 외제 모형 놀이 기구 때문이므로 우리 고유의 놀이나 놀이 기구의 보급을 위해 교육 전문가가 참여 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tudy and play through an ethnographic method.
The two topics I mainly dealt with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what way d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tudy and play through an ethnographic method.
The two topics I mainly dealt with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what way d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Second, what kind of plays do they do in school and at town?
I used an ethnographic method to solve the two questions. The results of my research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informant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diaries are as follows:
The study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 the study as just doing the homework assigned by the teachers and as solving the printed test materials. Further more, most of them think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study because of the severe exaction of the parents.
2.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the review-method, and they tend to read only the school texts and reference books, and they hate to solve the complicated problems or the tasks which demand the deep thinking.
3.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with a great amount of burden. Children with a clear aim study very hard, overcoming that burden, but those who don't have such an aim study only because of the exaction of their parents. Childrens' diaries, however, show that they look upon study and test as tedious.
4.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pare for the test by solving the printed test material. They think that those who solve many and various kinds of problems can get a good grade. Children who get a high score are regarded as doing well in school.
5. The incentives which encourage the students to study harder in school are scholarship assignments and monitorship. Children who adapt themselves to these incentives study hard, but those who can't are not likely to study.
6. Students are dealt with partiality according to their scores, and the scores are mainly made by the writing tests.
The pla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Bor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64 various kinds of play and they are not bound to place or instruments just if they can spare time.
2.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lays are as follows:
First, there's no difference in these play between male and female.
Second, they often imitate the lives of adults.
Third, they mainly play with the artificial instruments inside the house.
Fourth, they use a lot of foreign languge in their games,
Fifth, they don't stick to one specific game,
Sixth, they keep the rank system according to the age between them.
Based on these facts my advices as conclusion are;
First, parents and students should recognize that the ranks and score have no special meaning because elementary education is an obligatory course. For this purpose, present test system should be changed to the one that evaluates the achievements of students.
Second, elementary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pleasure of study as the lifetime learning. I point out that, as the students study by compulsion, they are not likely to become interested in the study, and that they are easily misled, if the pressure of parents becomes loose.
Third, we should present the students with the time and place, rather than to oppress them not to play.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and wide spread of new games are necessary.
Fourth, the abuse of foreign languages in plays is due to foreign playing instruments. In one respect, it is because native Korean games are not widely spread. The main problem, however, is that there's no system to make the educational experts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import of foreign playing instrument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