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국어 오용 실태를 음운, 어휘, 관용, 통사면에서 분석·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운면에서 음가의 혼란·장단음의 혼란·경음 및 격음화 현상·변이 현상의...
지금까지 국어 오용 실태를 음운, 어휘, 관용, 통사면에서 분석·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운면에서 음가의 혼란·장단음의 혼란·경음 및 격음화 현상·변이 현상의 혼란·어조의 혼란 등의 경우가 많다. 특히 모음의 흔용과 무분별한 경음화·격음화현상이 빈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2. 어휘면에서 유사한 어휘의 의미 혼동으로 인하여 잘못 사용하는 경우, 문맥적 호응의 불일치, 주체성을 잃어버린 표현, 무분별하게 남용하는 외래어, 새로 생겨난 국적 없는 언어, 한자의 오용 등으로 나타났다. 요즈음 특히 우리의 정겨운 고유어는 사멸하고 외래어가 범람하고 있는 실정이다.
3. 관용면에서 동의 중첩 현상과 모순 표현, 잘못된 습관상의 표현, 오용된 속담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4. 통사면에서 통사적 호응의 불일치, 용언 활용의 잘못, 사동·피동법의 규칙 일탈, 조사의 잘못된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오용의 요인을 분석해 보면
1. 언어적 요인으로 단어의 애매성, 음·어형의 유사성이 가장 많이 작용하고 있으며 무리한 단축, 장단음의 혼란으로 일어나는 의미의 혼란 등을 들고 있다.
2. 사회적 요인으로 대중들에게 전파력이 가장 빠른 방송 언어의 역기능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오락물이나 쇼 등의 진행자들의 언어 순화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그밖에 외국어의 영향, 급격한 사회 구조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3. 심리적 요인으로 강조 심리, 신조어의 생성 과정에서, 과잉 겸양 심리, 잘못된 유추, 모방 심리, 완곡한 표현의 심리, 노력 경제 등을 지적하고 있다.
4. 교육적 요인으로는 말소리 교육의 부실, 주관없는 남의 말 교육, 문법 작문 교육의 부실, 실물, 현장 교육의 부실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오용의 극복 방향으로
1. 음운면에서 학교에서 말소리 교육의 강화, 소리 표준어의 제정, 방송 언어의 표준 발음 사용 등을 제시할 수 있다.
2. 어휘면에서 정확한 어휘 사용을 위한 학교 교육의 강화 및 여러 매체를 통한 흥보, 전달 교육 실시를 통하여 바른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저력을 기르도록 한다. 그리고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을 자제하고 외래어는 가능한 우리말로 번역 차용하여야 한다.
3. 관용면에서 잘못된 언어 습관은 국어에 관한 관심을 심화한다면 얼마든지 시정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 기관과 대중 매체를 통한 언어 순화의 필요성을 역설하여 국민들이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가능하리라 본다.
4. 통사면에서 학교의 문법·작문 교육의 강화를 통하여 바른 글쓰기를 생활화한다. 그리고 작가들의 예술 형식을 빌어 무분별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법 파괴에 대한 자제가 이루어진다면 교정이 가능하다고 보아진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