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放送語彙 比較 考察 : KBS와 NHK 뉴스를 中心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 그 영역을 확장하여 情報化時代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影響을 주고 있는 放送語彙뉴스 語彙를 대상으로 韓·日 양...

본 연구는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 그 영역을 확장하여 情報化時代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影響을 주고 있는 放送의 語彙 중 뉴스 語彙를 대상으로 韓·日 양국의 放送 語彙 사용의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放送 語彙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전개하였다. 현대 어휘 연구의 관점에서 무작위 추출에 의해 선정된 KBS뉴스 4편, NHK뉴스 4편을 각각 品詞·語種·語數의 비교에 의한 방법으로 방송 어휘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그 방법으로 Ⅱ장에서는 放送과 放送言語, 뉴스의 定義 및 性格을 살펴보았으며, Ⅲ장에서는 비교 대상이 된 자료의 선정과 sampling을 제시하였다. 조사 항목에 따라 sampling된 자료를 가지고 Ⅳ장에서는 日常 生活語와의 비교, 雜誌 語彙와의 비교로 뉴스 語彙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다른 영역과의 비교를 통하여 도출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뉴스 語彙가 韓國과 日本이라는 差異에서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라는 의문점에 대해서는 Ⅴ장의 KBS와 NHK 뉴스 語彙의 비교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양국 뉴스에서 다루어진 어휘의 품사 비율, 구성상의 공통점 및 차이점, 기본 어휘의 사용 실태, 한 · 일 양국 방송의 어휘 선택에 있어서의 차이등을 중점적으로 전개해 나갔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뉴스는 ‘정보 전달’이라는 목적을 위해 가능한 한 컴팩트한 표현을 추구하기 때문에 ‘명사·동사’ 위주의 어휘 선택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대부분이 기본 어휘로 사용되고 있으며, 語種에 있어서는 양국 모두 漢字語 중심의 어휘로 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고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공통점 외에 어휘 사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취재하다, ○○○기자, 時勢, 混合, 근심”등의 語의 사용에 반해 일본의 경우는 “お傳えする, ○○さん, 相場, 混入, 掛念”등의 어휘 선택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어휘 선택에 있어서의 표현상의 차이의 제시는 현대 비교 어휘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한·일 양국의 방송 어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and Japanese broadcast vocabulary through analyzing both countries’ vocabulary use in news broadcasts which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us who are living in the in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and Japanese broadcast vocabulary through analyzing both countries’ vocabulary use in news broadcasts which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us who are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by extending their province as a form of social communication. To this end, in view of modern vocabulary study, I selected four KBS and four NHK news s by random sampling and tried to find the main features of the vocabular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word class, word species and number of words.
In the second chapter, I studied the definition and main features of broadcasting, broadcast language, and news. In the third chapter, I conducted the selection and sampling of the data for this study. With the data sampled according to the survey list, I tried in the fourth chapter to find the specific features of news vocabulary through comparing it with everyday language and magazine vocabulary. In the fifth chapter, I compared the specific differing featur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ews vocabulary.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developed around the proportion of word class of the vocabulary used in both countries’ news, the common and differing features in the framework, the actual condition of utilization of basic vocabulary, and the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broadcast vocabulary in both countries.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I recognized that the news broadcasts select ‘noun and verb’ centered vocabulary, and also use very basic vocabulary. Both countries commonly use Chinese word centered vocabulary in the word specie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use. For example, Korean news used vocabulary such as “collect (chuijaehada), er(○○○gi-ja), exchange rate tendency (si-sea), mixing (hon-hap), and worry (guen-sim)”. On the contrary, Japanese news used words such as “inform (otutaesuru), sir (○○san), exchange rate tendency (souba), mixing(konnyu), and concern(kenen)”. These expressional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vocabulary might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a modern comparative vocabulary study and may be helpful in understanding Korean and Japanese broadcast vocabulary.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