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감사 반응 화행 연구 : 감사 대상의 특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help Korean learners develop their sociolinguistic knowledge and discourse knowledge by discovering how Korean speech acts of responses to gratitude differs depending on the object of gratitude, social factors, and how speakers feel...

This study aims to help Korean learners develop their sociolinguistic knowledge and discourse knowledge by discovering how Korean speech acts of responses to gratitude differs depending on the object of gratitude, social factors, and how speakers feel pressure regarding the object of gratitude. It is necessary to express not only one’s gratitude but also respond to gratitude properly to maintain amicable social relationships, and these speech acts can be affected by socio-cultural norms and values. In particular, when language learners encounter the strategies in their target language that differ from their mother tongue, they should learn about them. Thus, the model of practical speech acts should be present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gratitude response, it is a response utterance, which means it can change depending on what kind of features gratitude has as a preceding utterance. Hence, this study focuses on how Korean responses to gratitude appear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of gratitude and 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status and intimacy. First, the research topic was examined using drama corpus to classify speech acts of gratitude by the features of the object of gratitude, and this study found which factors have decisive effects on the speech acts of gratitude responses. Secon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was conducted to find different strategies of speech acts depending on social factors. Drama corpus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d the speech act is the precedent listener’s request. In this case “denial” is highly apparent since a listener encounters a face-threatening situation when they say ‘thank you’ after their request, so a speaker makes the listener deviate from that situation. According to a result of DCT, when a speaker’s status is higher than that of the listener, either “no response” or “acceptance” was mainly used as the speech act strategy in gratitude responses. This finding seems to be attributed to Korean society’s social hierarchy. When the speaker’s status is lower than or level with the listener, “denial” or “demand for compensation” often occurred. The “demand for compensation” strategy was often used among close people of similar status. Meanwhile when the speaker’s status was lower than the listener’s or the speaker and listener are unfamiliar to one another, “acceptance” occurred most often. That strategy in particular was used in a non-verbal manner. It is not acceptable and can be impolite in Korean society if a lower status person adapts “acceptance” as a strategy to respond to gratitude in a verbal manner. Among unfamiliar people, non-verbal strategies were chosen for a light way. The “acceptance” strategy was shown in non-verbal ways in the results of both drama corpus and DCT. According to this result, Koreans use “acceptance” in a non-verbal manner as a speech act of response of gratitud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tri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as a precedent utterance and responses to gratitude as a response utterance by examining the features of gratitude response speech acts with the object of gratitude. Moreover, it also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preceding studies that conducted DCT by finding non-verbal responses to gratitude and investigating cross attributes among social factors as a significant result.

연구한국어 감사 반응 화행이 감사 대상특성과 화, 청자 변인, 감사 대상에 대한 화자의 부담감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고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사회언어학...

연구는 한국어 감사 반응 화행이 감사 대상의 특성과 화, 청자 변인, 감사 대상에 대한 화자의 부담감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고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사회언어학적 지식과 담화적 지식 함양에 도움을 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대방에게 적절한 감사 화행을 수행하고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감사 화행에 대해서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은 원만한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화행은 사회 문화의 규범과 가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외국어 학습자에게 있어 모국어와 목표어의 화행 전략이 다를 경우 학습자는 이를 새로이 학습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모어 화자의 실제적인 화행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사 반응 화행의 경우 응답 발화이기 때문에 선행 발화인 감사 화행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 대상의 특성에 따라 감사 반응 화행이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고 더불어 화, 청자 변인에 따라 달라지는 감사 반응 화행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드라마 말뭉치 분석을 통해 감사 대상의 특성에 따라 감사 화행을 분류하고 감사 반응 화행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위 관계, 친밀도와 같은 화, 청자 변인에 따른 감사 반응 화행 전략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담화 완성형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먼저 드라마 말뭉치 분석 결과 청자의 요청이 선행되었는지의 여부가 감사 반응 화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자의 요청이 선행되었을 경우 ‘부인하기’ 전략이 높게 나타났는데 청자의 요청이 있은 후 이루어지는 감사 반응 화행의 경우 청자의 체면 손상 위협이 높기 때문에 화자는 ‘부인하기’ 전략을 통해 청자를 체면 손상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주는 것이다. 담화 완성형 테스트를 통해 확인한 화, 청자 변인에 따른 결과를 보면 화자의 지위가 높을 경우 주로 ‘무응답’이나 ‘수락하기’ 전략으로 감사 반응 화행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수직적 위계질서가 감사 반응 화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화, 청자의 지위가 같거나 화자의 지위가 낮을 경우에는 ‘부인하기’와 ‘보답 요구’가 주요 전략으로 사용되었으며, 지위가 같고 친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보답 요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화자의 지위가 낮거나 화, 청자의 친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수락하기’ 전략이 사용되었는데 지위가 낮은 화자가 언어적 방법으로 ‘수락하기’를 수행할 경우 한국 사회에서는 오히려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며 친밀도가 낮은 화, 청자 사이에서는 상대방에게 간단하게 화행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미소와 같은 비언어적 방법의 화행 전략이 선택되었다. ‘수락하기’ 전략의 경우 드라마 말뭉치와 담화 완성형 테스트의 결과 모두 언어적인 방법보다는 비언어적인 방법이 많이 쓰여 한국인은 주로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수락하기’ 전략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 대상의 특성에 따른 감사 반응 화행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선행 발화인 감사 화행과 응답 발화인 감사 반응 화행 사이의 연계를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담화 완성형 테스트를 통해 감사 반응 화행을 연구한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수행되는 감사 반응 화행을 고찰하였고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교차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