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어미 ‘-려고’의 종결어미화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endings is an important. Although research on endings is still active in the field of both the synchronic and the diachronic, therefore,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function of a particular ending like...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endings is an important. Although research on endings is still active in the field of both the synchronic and the diachronic, therefore,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function of a particular ending like ‘-려고’.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nective endings and the final endings is ambiguous in the existing researches and the dictionary. ‘-려고’ is also one of the endings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nective endings and the final endings. The connective endings that is located at the boundary is mainly used as the final ending when it is colloquial. In this way, if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it can be said that it is generated through grammaticalization process or discourse manipulation such as ellipsis or inver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 that ‘-려고’ is used as the final ending through grammaticalization and ‘-려고’ is the process of the final ending oriented from the connective ending.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plain the process of the final ending oriented from the connective ending ‘-려고’ in a way of presenting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will examine from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Accordingly,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and the 15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literature in order to find out both the synchronic and the diachronic process of change. It’s because the language continues to change in a fluid pattern. This study will discuss how '-려고' functions and changes. In Chapter 2, It summarized that necessary theories for this study. Firs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ve ending and the final ending , and trie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separation between the connective ending and the final ending. Then, the researcher proposed what will be supported by this study that the definition of grammaticalization and Several principles of ending ‘-려고’. In Chapter 3,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how ending ‘-려고’ is connective ending and final ending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semantics and the syntax in the synchronic. Therefore, the semantics of the connective ending '-려고' and the final ending '-려고' are categorized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ir limitations are summarized in Based on each of example sentences. In Chapter 4, this study discussed in the diachronic that the syntax and the semantics of what kind of change the history until the present version of ‘-려고’.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researcher described this chapter, dividing the medieval languages into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modern languages into the 17th~19th centuries, and the modern languages into the 20th century and beyond. The researcher extracted the examples by period, summariz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mentioned what grammatical theories were applied in the process of change. Chapter 5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presented limitations. and then the researcher concluded the discussion by suggesting future research.

한국어의 경우 교착어로 어미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어미에 관한 연구는 공시적·통시적으로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 중이지만 ‘-려고’와 같은 특정한 어미의 기능이 변화...

한국어의 경우 교착어로 어미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어미에 관한 연구는 공시적·통시적으로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 중이지만 ‘-려고’와 같은 특정한 어미의 기능이 변화하는 양상을 설명하려고 보면 이에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와 사전에서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구분이 애매한 경우가 많다. ‘-려고’도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경계선에 놓여 있는 어미 중 하나인데, 주로 이렇게 경계선에 놓여있는 연결어미는 구어체일 때 종결어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의 경우는 문법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생략이나 도치와 같은 담화적 책략을 통하여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결어미 '-려고'가 종결어미로 쓰이는 현상을 문법화로 보고 ‘-려고’의 종결어미화가 진행 중임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려고’의 종결어미화가 진행되는 과정을 문법적 특성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설명할 것이며, 중세국어부터 현대국어까지 통시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21세기 세종계획>과 15세기부터 20세기 문헌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언어가 유동적인 패턴으로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려고’가 어떻게 기능하고 변화하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이 연구에 필요한 이론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구분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이 연구에 뒷받침 될 문법화의 정의와 ‘-려고’에 작용하는 여러 원리 및 기제들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공시적인 관점에서 어미‘-려고’가 연결어미일 때와 종결어미일 때 각각 의미·통사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결어미 ‘-려고’와 종결어미 ‘-려고’의 의미 기능을 분류하였고 그에 따른 각각의 통사적 특성도 해당 예문을 정리하여 그 제약을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려고’가 지금의 양상을 보이기까지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겪었는지 형태·통사·의미적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편의상 중세국어는 15~16세기, 근대국어는 17~19세기, 현대국어는 20세기 이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각각의 시기 별로 용례를 추출하고, 문법적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변화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문법화 이론이 적용되었는지 언급하였다. 5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를 제시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