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학문 목적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학문적 글쓰기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탄생한 학문이 ...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학문 목적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학문적 글쓰기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탄생한 학문이 바로 대조 수사학이다. 대조 수사학은 언어권마다 글 구조와 특징이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이론으로 학습이 충분하지 않는 학습자는 모국어 구조를 목표어에 전이시킨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대조 수사학의 관점으로, 학문 목적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전이 양상을 살펴보고 일본인 학습자의 특징과 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본어 논설문의 특징,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쓰기 장르 교육의 필요성을 함께 밝힘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대조 수사학의 개념, 목적, 활용 분야에 대해서 간략하게 고찰한 후, 실제로 일본어 논설문과 한국어 논설문, 각각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여 대표적으로 제시된 구조와 특징을 살피고 제시하였다. 일본어의 경우 논설문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웠으므로 ‘논리적인 글’에 관련된 연구를 다각적으로 살피어 하나로 종합하였다. 정리한 결과는 2.3.에서 한일 논설문 대조 분석 틀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글쓰기 자료 분석을 위한 연구 절차, 방법, 분석 범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정보, 연구 진행 절차와 방법을 자세히 밝히며, 2장에서 이론적으로 도출된 분석 틀과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범주를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어 모어화자, 한국어 모어화자 논설문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분석 기준을 확정한 후에 일본인 학습자 논설문을 살펴보았다. 분석은 크게 세 가지, 최상위 구조, 거시 구조, 미시 구조에 토대를 두었다. 최상위 구조는 전체적 구조, 즉 단락 구성, 논지 전개 방법을 포함한다. 거시 구조는 문단 수준의 구조이며 주제문의 위치, 논거 유형을 말한다. 미시 구조는 문장의 단위이며 문체와 담화 표지가 해당한다. 또한 본고는 도입 표현을 추가적으로 알아보고 기타로 정리하였다. 더불어 글쓰기 경험과 글쓰기 사고 과정에 관련된 설문지 조사 결과도 함께 검토하여 결과를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4.절에서는 가장 일본어 전이가 뚜렷한 논거와 문체를 중심으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논설문 특징을 따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얻은 결과를 결론에서 간단하게 재정리하고 한국어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 연구가 미진했던 대조 수사학이라는 학문을 활용하여 일본인 학습자 논설문의 전반적인 전이 경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한국어교육에서 대조 수사학에 관련되어 의미 있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