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英 語彙 共起 네트워크 構成特徵 比較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의 핵심 연구 대상은 한국어 및 영어 어휘 공기 네트워크이다. 소위 어휘 공기 네트워크란 일반 언어자료에서 문장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어휘들과 어휘간의 공기 관계들을 각각 “점”...

본고의 핵심 연구 대상은 한국어 및 영어 어휘 공기 네트워크이다. 소위 어휘 공기 네트워크란 일반 언어자료에서 문장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어휘들과 어휘간의 공기 관계들을 각각 “점”과 “변”으로 표현하고 구성하는 네트워크 모형이다. 네트워크 모형은 전통 언어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구 방식이 아니다. 21세기 초반에 들어서 네트워크 이론이 급속히 발전했고, 그에 따라 “어휘 공기 네트워크”라는 학제적인 융합 연구 방법이 등장했다. 전통 어휘 공기 관계 연구에서는 어휘 공기 관계를 주로 일부 어휘를 대상으로 보다 세밀하고 정성적인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언어의 체계적인 공기 양상을 드러내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정량적인 데이터와 시각화한 그림으로 기존 언어학 연구 방법의 단점을 보완활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이론과 분석 방법을 전통 언어학 연구에 접목시켜 기존의 연구 방식보다 더 객관적이고 광범위한 한영 어휘 공기 양상의 비교 분석 결과를 거두는 것을 본고의 주목적으로 삼는다. 본고에서는 한영 어휘 공기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21세기 세종계획> 성과물인 “한영 병렬 말뭉치” 자료를 바탕으로 샘플 자료를 추출해 총 8개의 공기 네트워크(한국어 5개, 영어3)를 만들었다. 이 8개의 네트워크의 주요 통계값을 추출해 “작은 세상” 및 “무척도” 특성 분석, “도 정보 분석”, “모티프 분석” 등 다양한 통계 실험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한국어와 영어 어휘 공기 네트워크는 모두 다 “작은 세상”과 “무척도 특성”을 보인다. 그렇지만 굴절어와 교착어의 언어 유형적인 차이로 한국어와 영어의 네트워크적 도 분포가 다르며, 대표적인 모티프도 다르다. 이는 한국어와 영어의 어휘 공기경향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는 3가지 독창적인 점이 있다. 첫째, 한국어 병렬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어휘 공기 네트워크라는 모형을 설계해, 한국어와 영어의 어휘 공기 관계 비교 연구에 새로운 길을 개척한 것이다. 둘째, 네트워크 이론에서 자주 쓰이는 통계값들을 대상으로 언어학적 의미를 각각 부여하고 언어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적극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셋째, 모형 설계부터 통계 결과분석까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라는 언어학 연구 도구의 사용 범위와 내용을 확장시킨 것이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al properties of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in Korean & English. The so-called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are defined as a series of one particular network model whose “nodes” an...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al properties of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in Korean & English. The so-called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are defined as a series of one particular network model whose “nodes” and “edges” are respectively configured with the “words” and the “co-occurrence relations” between “words” from sentences of linguistic contexts database. In traditional Linguistics, The network model is not considered as a very common research method. But ow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theory” in the first decade of 21st century,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could be finally explored as a new interdisciplinary research branch bridging traditional linguistics and network science. From a traditional linguistic perspective, the usual method of researching on lexical co-occurrence phenomena is to focus on implementing some detailed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some particular (kinds of) words. However, this method finally proved difficult in revealing a full-scale description on the features of lexical co-occurrence phenomenon. Comparatively, by creating a network model, there will be dozens of quantitative data and visual network pictures, which could be a great enhancement to the traditional linguistic method. So the main purpose of this can be stated as: through converging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raditional linguistic theories, finding out a more objective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 to the co-occurrence phenomenon in Korean & English. For realizing the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in this “Korean & English parallel corpus”, which is a part of achievements of “21st Century Sejong Project”, are selected to be the main database and eventually there are 8 kinds of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established(Korean networks: 5; English networks: 3). According to several statistic targets of networks, a number of experiments and analysis are conducted (e.g. test for “small world” & “scale-free”, test for degree distribution and test for motifs, etc.).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common point between Korean & English networks is that both of them do have the “small world” and “scale-free” features. And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se 2 language network lay on the degree distribution, which exactly showed the inherent difference in lexical co-occurrence capacity of Korean & English. There are also 3 main innovations in the present research: First, by the way of creating “lexical co-occurrence networks” on the basis of “Korean & English parallel corpus”, it shows a new paradigm for a study on lexical co-occurrence phenomenon. Second, For a more persuasive explanation, each of the statistic targets used in this has been redefined with new linguistic meanings, ultimatel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linguistics and network theory. Third, through showing a well-designed experiment and analysis process, the scope and utility of language network are consequentially explored.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