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지역 중학생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와 지도방안 연구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work Service)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ternet languag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cheon and to devise a proper instruction plan as language had huge influence on the youth.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attitude on i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ternet languag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cheon and to devise a proper instruction plan as language had huge influence on the youth.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attitude on internet language and SNS. Studnets used internet language without feeling or thinking but for friendliness or for fun. Most students felt no sense of problem in using internet language.
When widely used internet words in S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y used those words not only in internet chatting, exchange text message in mobile phone, posting comments in virtual space but also in daily life such as keeping diary, letter, homework and performance assessment.
The present condition of internet language was found in SNS and classified it by characteristics of phonetics, lexis and mark. For phonetics, it had ‘abbreviation’, ‘addition’, and ‘writing as it sounds and change of phoneme’. For lexical characteristics, it shows prevalent use of ‘slang’, ‘jargon’, ‘abbreviatio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new created word and buzzword’ and ‘loan word and foreign word’. In particular, students in Jecheon showed a prevalent use of ‘slang’ and ‘jargon’.
For marking characteristics, ‘writing as it sounds’, ‘abbreviation or abuse of punctuation marks’, ‘omission of leaving space’ and ‘use of emotion expression sign’. For ‘writing as it sounds,’ they wrote Sireo (Sil-eo) Joa (Jo-A), Mani(Man-i), or wrote in a fortis such as Ssaranghae (Saranghae). And, they used to omit period, comma or question mark, but to mark severally. They omitted space intentionally such as ‘Iamnotgoingtoday’, ‘Isityourroomschalk?’. Emoticons were also sued to express feelings.
Such phenomenon caused various problems like destruction of linguistic standard, reduction of learning grammar, generational severance and indiscrete use of slang.
With such results, this study compared the internet languag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with the 7th revised curriculum. The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media language’ section and also reflected the contents of internet media.
This study also devised an effective instruction plan for internet language in the grade 1 Korean language course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s internet language section and on the above contents. To solve problems of internet language use, it would be desirable to instruct the whole process including a sense of problem, solution process and solution methods to be carried out by the initiative of students.
With such instruction plan, students may keep more critical attitude in using internet language, and may reflect to use proper language.
However, this study did not examine the deformation of semantics of internet language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he basic questionnaire survey was not analyzed by gender. It is recommended to continue to carry out further surveys and researches on internet language to cope with rapid changing condition.

본고에서는 통신언어가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제천 지역 중학생들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통신언어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본고에서는 통신언어가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제천 지역 중학생들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통신언어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제천 지역 중학생들이 가지는 있는 통신언어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통신언어를 아무런 느낌이나 생각없이 사용하며, 친구들 사이에서 친근함이나 재미를 위해 통신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의 통신언어 사용에 있어 별다른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통신언어들을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 친구들과 인터넷 채팅을 할 때, 휴대전화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친구들과 가상 공간에서 댓글을 달 때, 심지어는 일기나 편지, 학교 과제, 수행평가 등 일상 생활에서도 통신언어의 사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통신언어의 실태를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work Service)에서 찾아 음운상, 어휘상, 표기상의 특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음운상의 특징에는 ‘축약’, ‘첨가’, ‘소리대로 적기와 음운 교체’ 현상이 나타났고, 어휘상의 특징에는 ‘은어’, ‘비속어’, ‘약어’, ‘의성어와 의태어’, ‘신조어와 유행어’,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이 많았다. 특히 제천 지역 중학생들은 ‘은어’와 ‘비속어’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표기상의 특징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기’, ‘문장부호의 생략과 남용’, ‘띄어쓰기의 생략’, ‘감정 표현 부호’의 사용 등이었다. 소리 나는 대로 적기의 특징은 시러(싫어), 조아(좋아), 마니(많이) 등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거나 싸랑해(사랑해) 등과 같이 된소리로 표기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글에 마침표나 쉼표, 물음표 등의 문장부호를 생략하거나 두세 번씩 표기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나오늘안간다’, ‘너네칠판분필이냐?’ 등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생략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의 의사에 감정을 표현해주는 이모티콘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들을 통해 청소년들의 통신언어 사용이 어문 규범의 파괴, 문법 학습 능력 저하, 세대 간 대화 단절, 무분별한 비속어의 사용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와 관련지어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신언어 교육, 특히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통신언어 교육과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통신언어 교육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매체 언어’영역의 신설과 함께 인터넷 매체에 대한 내용의 반영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새롭게 바뀐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통신언어 단원과 이제까지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의 국어과에서 통신언어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구안해 보았다. 통신언어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 인식, 해결 과정, 해결 방안 등 모든 과정이 학생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지도가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지도방안을 통해 학생들은 통신언어를 사용할 때 좀더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할 것이고, 무분별하게 사용하던 통신언어를 점점 올바른 언어로 사용하고자 하는 태도로 바뀔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통신언어의 의미상의 변이와 그 특징을 미처 살펴보지 못한 점이 있다. 그리고 기초 설문조사 통계를 남녀로 구분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날마다 변하는 통신언어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야 할 과제가 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