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부모교류 활동이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해소 및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최 현 미 M. A. 보육학 전공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원 다문화 사회로 진입과 함께 한... 어린이집 부모교류 활동이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해소 및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최 현 미 M. A. 보육학 전공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원 다문화 사회로 진입과 함께 한국으로 이주하는 결혼이민자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은 한국사회에서의 부적응상태에서 자녀를 양육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은 부모가 영유아 자녀에게 적절한 역할을 하기 어려우므로 이들의 역할을 보완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과 한국부모의 교류 활동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 양상과 양육효능감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 변화가 한국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한국어머니 4명과 재원중인 다문화가정 어머니 2명, 지역사회에 영유아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 2명으로 이루어졌으며 4회기 동안이 부모교류 활동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면담을 한 후 도출된 주제어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범주화 하며 이를 통해 양육에서의 어려움(스트레스)의 해소 , 이로 인한 양육효능감의 변화 양상, 한국부모와의 관계 변화를 통해 육아 문제 해결 능력의 변화, 적응력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사전 , 사후의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WIN 14.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배경과 자녀 양육배경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전 . 사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머니와의 교류 활동을 통해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는 한국 생활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맞물려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국 어머니와 친밀감을 형성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린이집 내에서 서로 협력하는 동등한 관계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곧 정서적으로 외로움을 느끼고 위축된 모습의 다문화 가정 어머니에게 이야기를 해줄 상대가 필요했으며 정서적 지원을 제공 받으며 스트레스의 해소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둘째, 한국 어머니와의 교류를 통한 양육 효능감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 어머니는 양육 스트레스가 해소 되어감에 따라 양육 효능감도 향상 되는 모습을 보였다. 다문화 어머니들은 자녀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높은 것에 비하여 영유아의 발달에 대한 이해 부족, 한국어의 미숙 , 문화의 다름으로 인해 양육의 자신감이 낮은 상태였지만 한국 어머니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해가며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갖게 되고 자녀 양육법이 변화되었으며 양육효능감도 향상 되어갔다. 셋째, 한국 어머니와 교류 활동을 한 후 다문화 어머니와 한국 어머니와의 협력적인 관계로 변화 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이번 교류 활동을 통하여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한국 어머니에 대한 인식을 전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타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다문화 어머니는 어린이집학부모나 이웃과 교류의 기회가 없었는데 이번 활동을 통하여 서로 협력적인 관계를 이루게 되었다. 넷째, 부모교류 활동을 통해 다문화 어머니의 적응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머니와의 교류 활동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 어머니는 한국 생활에 있어 자신 없었던 부분에 자신감이 생기고 이것은 곧 한국 생활 적응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살펴 볼 수 있겠다. 단순히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의 형태를 벗어나 한국 문화에 적응을 돕기 위해 그들을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공감해 주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응력에 도움을 준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부모 교류 활동은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나 부담감은 감소하였으며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어 결국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자녀 양육에 긍정적인 변화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부모와의 관계의 변화가 곧 육아 문제의 해결 능력과 적응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부모와의 실제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자녀 양육태도와 적응력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더욱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문화 가정 부모들의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