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인용문을 구성하고 있는 인용 보문의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인용이란 현재 이외의 시점에서 행해진 발화와 상황 요소가 현재의 시점에서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인용문을 구성하고 있는 인용 보문의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인용이란 현재 이외의 시점에서 행해진 발화와 상황 요소가 현재의 시점에서 전달되는 것이다. 인용문은 인용이라는 언어 현상이 언어 형식에 드러난 것을 의미한다. 인용은 인용 주체, 인용 행위, 인용 대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인용문에서 주어, 인용 보문, 인용 동사 등으로 나타난다. 기존의 연구에서 인용 대상은 내포절의 한 유형인 ‘인용절’로 처리되었다. 그러나 인용 대상에 해당하는 언어형식은 문장성분으로서의 내포절(embedded clause)보다는 보문명사나 보문동사의 내용을 기워주는 보문(complement sentence)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인용 대상에 해당하는 언어형식을 내포절의 한 갈래로 설정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언어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인용 대상을 보문의 한 부류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인용 보문의 분류를 새롭게 나누어 보았다. 인용 보문은 뒤이어오는 수식 대상에 따라 동사구 인용 보문과 명사구 인용 보문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내용 전달성], [±외적 발화]를 가진다는 것이다. 인용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전달 가능한 내용과 외적이든 내적이든 발화가 꼭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보문 동사나 보문명사는 이러한 자질들을 꼭 가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ategory of quotation objects. The quotation objects that consist of quotation sentence is not embedded clause but complement sentence. Quotation is in present conveying utterance and situation element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ategory of quotation objects. The quotation objects that consist of quotation sentence is not embedded clause but complement sentence. Quotation is in present conveying utterance and situation element that is done at time except present. Quotation sentence is language phenomenon of quotation that comes to the front of language form. Quotation sentence consists of quotation subject, quotation and quotation objects. And those elements are represented by subject, quotation complement and predicate in quotation sent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