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인칭접미사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the relation of correspondence and the morpho-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ersonal suffixe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a contractive study of linguistics. A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the relation of correspondence and the morpho-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ersonal suffixe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a contractive study of linguistics. A summary of the contents discussed below.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and reviewed preceding researches. Chapter 2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eded for research. Chapter 3 and Chapter 4 is the body of this dissertation. Chapter 3 contrasts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d chapter 4 contras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personal suffixes.
From the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 firstly contrasted the characteristics of stems which personal suffixes were added to. Through analysing characteristics of word type or word class in those stems, I could provide the keynote evidence for explaining the productivity of certain personal suffixes in Korean and Chinese. In addition, contrasting the derivations used by personal suffixes in their structures, steps and productivit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word formation or word productivity of personal suffixes in Korean and Chinese.
From the semantic point of view, I contrasted personal suffixes of Korean and Chinese by basic semantic features and subordinate semantic features. As basic semantic features there are [/tendency], [/occupation], and [/position] and as subordinate semantic features are [±honorific], [±humble], [±endearing] distinctive features. Then I investigated personal suffixes that can be used alternatively in Korean and Chinese, and in doing so, there is important to contrast them to distinctive features.
 By doing this,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the relation of correspondence and the morpho-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ersonal suffixes in Korean and Chinese. Finally speaking, I hope that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orrect use of the personal suffixes of Korean and Chinese.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접미사를 형태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에서 대조 분석을 함으로써 한·중 인칭접미사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 서로의 대응양상 그리고 대응 인칭접미사간의 공...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접미사를 형태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에서 대조 분석을 함으로써 한·중 인칭접미사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 서로의 대응양상 그리고 대응 인칭접미사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대상 및 방법을 서술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했다. 제2장에서는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했다. 제3장과 제4장은 본 연구의 본문이다. 제3장에서는 한·중 인칭접미사를 형태론적으로 대조하고 제4장에서는 한·중 인칭접미사를 의미론적으로 대조했다.
형태론적 대조에서는 우선 인칭접미사가 결합하는 선행어기의 특성을 살펴봤다. 선행어기의 어종적 특성과 품사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중 특정 인칭접미사의 생산성을 설명하는 데에 기초적인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칭접미사의 파생 양상, 즉 파생구조와 파생절차 그리고 파생력을 살펴봤다. 이는 한·중 인칭접미사의 조어 특성과 생산성을 밝히는 데에 의미가 있다.
의미론적 대조에서는 먼저 한·중 인칭접미사가 가지고 있는 기초적 의미자질과 부수적 의미자질을 이용하여 인칭접미사의 의미특성을 대조하였다. 기초적 의미자질 대조에서는 [/성향], [/직업], [/신분]이라는 의미자질을 이용하여 인칭접미사들을 구분하였으며 부수적 의미자질 대조에서는 [±존대, ±비하]와 [±애칭, ±비하]를 이용하여 세부적 차이를 대조하였다. 이어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각각 교체 사용 가능한 인칭접미사들을 서로의 변별적 의미자질을 이용하여 대조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중 인칭접미사의 대응 관계, 서로의 형태론적과 의미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따라서 이는 한·중 인칭접미사를 정확하게 활용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리라 생각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