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한자 장소 접미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준접미사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의미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
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한자 장소 접미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준접미사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의미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장소 접미사에 대해 정의하였다. 한국어 한자어 접미사에 대해 여섯 가지 기준을 살펴보고 중국어 준접미사에 대해 다섯 가지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고는 한자어 장소 접미사에 [/장소]의 의미자질을 추가하고 한자어 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의 설정기준에 적용하여 본고의 장소 접미사 목록을 작성하고 최종적으로 12개 장소 접미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한자어 장소 접미사의 의미자질의 설정기준을 세우고 각 접미사를 중심 의미자질에 따라 [/시설], [/기관], [/영리] 등의 집미사류와 복합접미사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소 접미사의 의미자질을 기준으로 하여 한·중 장소 접미사를 대조할 때에 적용하였고, 선정된 12개 장소접미사를 네 가지 중심 접미사류로 분류해서 대조하였다. 3.1.에서 ‘-장(場)’, ‘-소(所)’, ‘-원(院)’은 주로 [/시설]의 의미자질을 중심으로 대조하였다. 3.2.에서 ‘-부(部)’, ‘-국(局)’,‘-처(處)’,‘-청(廳)’은 주로 [/기관]의 의미자질을 중심으로 대조하였다. 3.3.에서 ‘-방(房)’,‘-점(店)’은 주로 [/영리]의 의미자질을 중심으로 대조하였다. 3.4.에서 ‘-관(館)’,韩语论文,‘-실(室)’,‘-사(社)’는 각 접미사가 지니고 있는 의미자질에 따라 분석하여 대조하였다. 3.5.에서 선정한 12개 한자어 장소 접미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표현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기능을 종합적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한국어의 ‘-관, -방, -청’과 중국어의 ‘-館’,‘-房’,韩语论文题目,‘-廳’는 지니고 있는 의미자질의 차이점미 많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선정한 12개 장소 접미사의 대조 분석 과정에서, 두 언어 파생어의 접미사가 본래 지닌 의미자질을 대조 분석할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의 발전에 따라 두 언어의 장소접미사로 이루어진 신어의 의미기능이 변화하는 경향성도 고려해서 대조하였다.
마지막 4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고의 전체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한국어 장소 접미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준접미사 의미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중 한자어 장소접미사에 대해 이전에 연구된 바가 거의 없어 필자의 논리에 따라 설명하였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이 많고 좀 더 깊이 있게 설명하지 못한 점도 많다. 본고는 파생어 생성에 따라 12개의 한자어 장소 접미사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앞으로도 더 많은 장소 접미사들과 장소 접미사가 아닌 다른 의미를 지닌 접미사들도 연구할 대상이 될 것이다.
주제어
접미사, 준접미사, 파생어, 의미자질, 의미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