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과 중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
가에 나타나는 봄노래의 소재화(素材化)의 양상과 형상화(形象化) 방식을 분석하여 비
교 연구하였다. ...
한국문학과 중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
가에 나타나는 봄노래의 소재화(素材化)의 양상과 형상화(形象化) 방식을 분석하여 비
교 연구하였다. 한국의 조선시대 이전의 봄노래와 중국 『시경』의 국풍 속의 봄노래
에 대한 비교 연구는 동시대성이 아니라 민요적 성격에 논거(論據)를 두었다. 그리고
연구 방법은 역사적 선후 관계를 전제로 하여 영향 관계를 확인하는 기존의 전파론적
접근 방법을 지양(止揚)하고, 수평적 대등 관계로 보고 공통점을 통해서는 보편성을,
차이점에 통해서는 특수성을 파악하는 동이론적 접근법을 취하였다.
분석 대상 작품은 한국은 조선시대 이전의 고전시가 중에서 봄노래에 해당하는 작
품으로 고대가요 <황조가>, 향가의 <헌화가>와 <모죽지랑가>, 고려속요의 <동동>(2․
3․4연)과 <만전춘별사>(2․5연) 등을 선별하였고, 중국은 『시경』의 국풍 중에서 <도
꼬마리(卷耳)>, <매실 따기(摽有梅)>, <들판에서 잡은 노루(野有死麕)>, <어쩌면 저렇
게 고울까(何彼襛矣)>, <남풍(凱風)>, <진수와 유수(溱洧)>, <분수 가의 진펄(汾沮
洳)>, <동문 밖의 버드나무(東門之楊)>, <제비(燕燕)>, <질경이(芣苢)>, <다북쑥 뜯어
(采蘩)> 등 11수로 제한하였다.
먼저 봄노래의 소재화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자연물과 세시풍속이 한국과 중국의
봄노래에서 공통적인 소재로 사용되었다. 자연물은 봄새와 봄꽃이 집중적으로 사용되
었고, 특히 꾀꼬리를 통해서 한국인과 중국인이 봄의 정서를 느낀 공통점이 확인되었
다. 세시풍속 노래의 소재는 한국이 중국보다 종교적 색채가 더 강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중국에는 한국에 없는 생업활동의 봄노래가 다수 있어서 소재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한국과의 결정적인 차이점을 보였다.
다음으로 봄노래의 형상화 방식을 보면, 한국의 경우 자연경관을 소재로 할 때는
환유적 형상화와 은유적 형상화가 사용되고, 세시풍속을 소재로 할 때는 상징적 형상
화와 비유적 형상화가 사용되었다. 중국의 경우에서는 자연경관을 소재로 한 봄노래
에서 은유적 형상화 방식은 사용되지 않고, 환유적 형상화 방식만 사용되었고, 세시풍
속을 소재로 한 경우에는 상징적 형상화와 비유적 형상화 이외에도 직서적(直敍的)
표현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생업활동을 소재로 한 경우에도 상징적 형상화와 비유
적 형상화와 함께 직서적 표현법이 모두 사용되었다. 이처럼 중국의 봄노래에서는 환
유적 형상화, 상징적 형상화, 비유적 형상화, 직서적 표현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리하
여 환유적 형상화, 상징적 형상화, 비유적 형상화는 한국과 중국이 공통점을 보이면서
한국의 봄노래에서는 은유적 형상화가, 중국의 봄노래에서는 직서적 표현 방식이 차
별화를 보인다. 이를 통해 한국인은 사상과 정서를 에둘러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을 선호하였다면, 중국인은 직접적으로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This research compares the ways of materialization and expression that appear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 spring poems as to better understand the common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
This research compares the ways of materialization and expression that appear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 spring poems as to better understand the common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pre-Joseon Dynasty spring poems and the section of Airs of the States (Guo Feng) in the Chinese Classic of Poetry (Shijing) has been grounded its basis on their common nature as folksongs, instead of contemporariness. Regarding the methodology, this research does not use the existing “diffusion” approach that presumes the historical order and confirms influential relation, but the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commons and differences in their horizontal and equal relationships.
This study chooses Ancient Song Hwangjoga, Hyangga Heonhwaga, Mojukjilangga, Goryo Gayo, the second to fourth stanza of Dongdong, the second and fifth stanza of Manjeonchun Byeolsa to analyze Korean ancient poems themed on spring before Joseon Dynasty. For the Chinese part, we choose the eleven Chinese ancient poems from the Airs of the States in the Classics of Poetry, including Juaner, Biaoyoumei, Yeyousijun, Hebinongyi, Kaifeng, Zhenwei, Fenjuru, Dongmenzhiyang, Yanyan, Fuyi, Caifan.
Firstly, this research compares the materialization. Korean and Chinese spring lyrics commonly use natural objects and seasonal customs. Birds and flowers are intensively used materials. Particularly, nightingale is an imaginary of expressing sentiment. With regard to the materials of seasonal customs, Korean works is more tuned on religious tone; whereas, in Chinese cases, it was decisively different in the aspect of variety to have many spring lyrics themed on everyday life.
Secondly, this research compares different expressions in the spring lyrics. Korean works uses metonymic, metaphorical, symbolic, and figurative expressions to materialize natural views. However, Chinese works only uses metonymic expressions, but not metaphorical expressions. Those materialize seasonal customs use indicative expressions besides symbolic expressions and figurative expressions. In the Chinese cases, those materialize the works about daily life, metonymic, figurative, indicative expressions are all used. In this way, Chinese spring lyrics adopts metonymic, symbolic, figurative and indicative expressions. In conclusion, both Korean and Chinese spring lyrics use metonymic, symbolic and figurative expression in common, but differently, Korean works uses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Chinese works uses indicative expressions. This difference implies that Koreans prefer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more indirectly, while Chinese prefer to express them more directly.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