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is to find out the same and the different of onomatopoeia between Korean and Chinese after comparing them, then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from phonology, morphology and significance.
Chapter 2 is to illustrate t...
The purpose of this is to find out the same and the different of onomatopoeia between Korean and Chinese after comparing them, then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from phonology, morphology and significance.
Chapter 2 is to illustrate the concept and grammar skills of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Chapter 3 is to compare them according to phonology, morphology and significance from the basis of two languages’ catalogues in classified dictionaries, from the different kinds of things and their methods of sounds thus I get materials from those representative onomatopoeia. After the contrast, We can not only find out onomatopoeia’s same features and different ones but also embody the distinction of words and even two countries’ cultures. At the same time, I am not going to focus on study of a single word on phonology, morphology and significance but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t. So we can understand onomatopoeia’s unity and individuality better.
Chapter 4 is to find out the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all in all. Firstly, the features of phonology between two sorts of languages. The replacement of consonants and vowels in Korean. Onomatopoeia is the clearest Neither is Chinese and this phenomenon can’t influence Chinese. Even though Chinese Erhua Phenomenon may display a few proportion of onomatopoeia’s sense. It can’t stand for all onomatopoeia. Besides, there is no Chinese like homophone and intonation in Korean. Secondly, their morphology, both Korean and Chinese can be divided as single type and repetitive type Obviously, they have same points and individual special ones. Though it exists from the first syllable to the sixth syllable in Korean onomatopoeia. There is fewer syllables in Chinese, less than four. Lastly, their characteristics of significance. From the detailed comparison of Chapter 3.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has variety of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both of them can be changed by environment, but Chinese can be changed more. Because Chinese onomatopoeia’s category is more general and more abstract. It needs more supplement by other languages.
The is a study on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from three sides. While there are still many unknown knowledge. for example, although I classify the onomatopoeia the explanation is on-sided. It included the representative words. I could learn more speciality after the large amount of study. And to study Korean native tongue’s onomatopoeia is more difficult to a foreigner. I hope it can be great help to those who want to learn Korean after understanding of specific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본 논문에서는 한·중 의성어의 사물(事物) 소리를 음운, 형태, 의미적으로 비교하여 한·중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한·중 두 나라 의성어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 의성어의 사물(事物) 소리를 음운, 형태, 의미적으로 비교하여 한·중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한·중 두 나라 의성어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2장에서는 한·중 의성어의 개념과 문범 기능을 파악했다.
3장에서는 한·중 의성어 분류사전에 제시된 목록을 토대로 사물의 종류와 사물이 나는 소리의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대표적인 사물(事物) 유형별 의성어를 연구 자료로 음운, 형태, 의미적 방면에서 구체적으로 비교 연구를 했다. 이런 작은 부류의 의성어까지 대비하는 것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한·중 의성어의 어휘의 장과 문화의 차이도 이 장에서 표현했다. 한·중 의성어를 대비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단어마다 음운, 형태, 의미 방면에서 빠짐없이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 단어가 가지고 있는 어느 방면의 특징을 밝히고 대비했다. 이런 방법을 통해 사물 의성어 특징의 통일성(統一性)과 개별성(個別性)을 잘 밝힐 수 있다.
제4장에서는 논의된 사항을 종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의 특징을 살펴봤다. 한·중 의성어의 음운적 특징으로는 한국어 의성어의 자음 교체와 모음 교체는 음운적으로 제일 뚜렷한 특징이다. 중국어 의성어는 이런 자음이나 모음 교체를 통해 어감 변화를 시키는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어의 兒化(아화) 현상은 의성어의 어감 변화를 표현할 수 있지만, 전체 의성어가 아니라 일부 의성어만 가지고 있는 현상이다. 이외에 한국어 의성어는 없고 중국어 의성어만 가지고 있는 同音異形詞(동음이형사) 현상과 성조가 특징이다. 또한 한·중 의성어의 형태적 특징으로는 한·중 의성어가 모두 단독형(單獨型)과 첩어형(疊語型)을 나눌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서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구조 형태가 있고 각 나라의 독특한 구조 형태도 존재한다. 한국어 의성어는 1음절부터 6음절까지 모두 존재하지만 중국어 의성어는 4음절을 넘지 않는다. 한·중 의성어의 의미적 특징으로는 제3장 사물 소리 의성어의 구체적인 대비를 통해서 한·중 의성어는 공통적으로 다능성(多能性)을 구비하고 있다. 한국어 의성어나 중국어 의성어는 언어 환경에 대해 영향이 다 있지만 중국어 의성어에 영향이 더 크다. 중국어 의성어는 표현 범주가 개괄적이고 추상적이라서 문장의 다른 어휘의 도움을 더 의지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주로 이상의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물과 관련된 의성어를 연구해 봤다. 그러나 다루지 못한 부분들이 아직 많다. 예를 들어 사물 의성어를 분류하지만 논의하던 것은 전체 분류의 내용이 아니고 대표적인 사물 유형별 의성어이다. 의성어의 전부 분류내용을 분석하기가 작업량이 아주 크지만 그렇게 하면 특별한 특징을 더 많이 밝힐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한국어의 固有語(고유어) 범주에 속하는 의성어는 다른 단어보다 매우 어렵다. 한·중 사물 의성어의 구체적인 대비를 통해 한국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