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원어민 교사의 발화 및 상호작용 사례 연구: 초등 영어수업을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초등 영어 수업에서 동일한 교수 환경 조건이 주어졌을 때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발화 기능의 특징과 각 교사와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

연구초등 영어 수업에서 동일한 교수 환경 조건이 주어졌을 때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발화 기능의 특징과 각 교사와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원어민 교사 1명과 영어 전담 한국인 교사 1명의 수업을 총 2차시에 걸쳐 참관하고 수업 내용을 전사하여 교사발화분석기준과 상호작용의 유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발화분석기준에 따른 발화의 기능을 살펴 본 결과 원어민 교사의 발화에서는 지시하기와 질문하기의 기능이 두드러진 반면 한국인 교사의 발화에서는 오류수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즉 원어민 교사는 주로 학생들에게 지시어와 질문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많은 언어 입력을 넣어주는데 중점을 두는 반면, 한국인 교사는 학생 발화의 오류수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이어가는데 주로 중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생 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는 IRE형이 많았던 반면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는 IRF형 상호작용이 많았다.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한국어 사용으로 인해 상호작용이 교실 밖의 대화처럼 자유롭게 이어져 IRF형 상호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하지만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는 언어 사용 장벽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대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단답형으로 끝나게 되어 IRF형 상호작용으로 확장 되지 못하였다.
결국 원어민 교사는 이해 가능한 입력 제공과 학생 간에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면에서는 한국인 교사보다 높이 평가 될 수 있으나, 학습자의 수준이 대부분 초급에 한정된 초등 교육 현장에서는 한국인 교사와 같이 피드백을 통한 상호작용의 발전을 통해 우선적으로 학생들의 발화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겠다. 그리고 한국인 교사는 학생들의 지나친 모국어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영어 사용을 더 늘리고 학생들의 모국어 응답을 영어로 전환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후속 질문 및 피드백을 통하여 상호작용을 발전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영어 사용에 자신감을 주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unctions and interaction patterns of teacher talk with a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a Korean English teacher and a native English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Data are collected by recording two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unctions and interaction patterns of teacher talk with a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a Korean English teacher and a native English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Data are collected by recording two classroom sessions taught by each teacher. Collected data a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in terms of (a) the quality of teacher talk, (b) the 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e results show that in terms of the quality of teacher talk, the native English teacher is found to provide more directions and questions while the Korean English teacher tends to provide more error corrections. By focusing on error correction, the Korean English teacher provides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while the native English teacher’s input provides little opportunity for teacher-student discussion.
With regard to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e most frequent type of interaction found in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 is IRE (Initiation-Response-Evaluation) type while IRF (Initiation-Response-Feedback) type is found in the Korean English teacher’s class. Frequent IRF patterns appear in the Korean English teacher’s class due to the students’ ability to discuss in Korean, allowing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 the interaction cannot develop because the language barrier blocked them from having natural communi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due to the low English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ative English teacher needs to have more interaction through feedback to motivate students to speak more. The Korean teacher should also encourage students to communicate in English by providing more follow-up questions until the student feels comfortable in responding in English. This process should exte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le boosting the students’ confidence.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