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분류사의 의미와 대응양상 대조 연구 : 생물체 분류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is a study on Semantic function and mutual correspondence astpects between 42 classfiers of creatures in Korean and 60 classfiers of creatures in Chinese. We firstly compared and analysed many differences of use and meaning of the classfier...

This is a study on Semantic function and mutual correspondence astpects between 42 classfiers of creatures in Korean and 60 classfiers of creatures in Chinese. We firstly compared and analysed many differences of use and meaning of the classfier of creatures in two countries, and then presented a simple table of correspondence aspects through finding the type of it. The overall discussion of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The first, in chapter 1 and chapter 2, we redefined the definition of 'classifier' and newly categorized classfiers according to it. There can be arrangement as follows. (1) the definition of classfier of creatures: the classfier of [/biotic] which used to count the objects of that properties. (2) The classfier of creatuers were classified into 3 catogories, personal classfier, animal classifier and plant classifier. In Chapter 3, we analized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of 42 korean and 60 chinese classfiers of creatures. Especially, classfiers in relation to person, animal and plants were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 collective] and [/ individual]. In <table18> and <table19>, there ar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lassfiers in two countries. In <table25> and <table26>, there ar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nimal classfiers in two countries. Also in <table32> and <table33>, there ar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lant classfiers in two countries. And in Chapter 4, based on Characteistics of meaning of classfier in Chapter 3 we looked through correspondence aspects of a classifier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devided it into 3 types, one-to-one correspondence, one-to-many correspondence, noncorrespondence. Firstly, one-to-one correspondence was said to the case matched completely in meaning and func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table37>). The second type was divide two case again, that is, the case for one(Korean)-to- many(Chinese)(<table53>) and the case for one(Chinese)- to-many(Korean)(<table65>).Finaly, noncorrespomdence was said to the case which could not find the counter classfier in other country.(<table66> and <table67>). In Chapter 5, we summarized the upper discussion and showed the remanent problems for futural study.

본고는 한국어의 생물분류사 42개와 중국어의 생물분류사 60개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미상 기능과 상호 대응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한·중 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물체 분류사의 의...

본고는 한국어의 생물체 분류사 42개와 중국어의 생물체 분류사 60개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미상 기능과 상호 대응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한·중 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물체 분류사의 의미와 쓰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그 양상을 유형화하고 대응양상을 간단한 표로 제시하였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1장, 2장에서 우리는 논의의 바탕으로 삼을 ‘분류사’의 정의를 새롭게 정의하고 분류를 다시 하였다. 종래 다양한 정의를 종합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1) 한중 생물체 분류사는, [/생물성]의 의미 특성을 가지는 대상을 세는 데 사용되는 분류사를 가리킨다. (2) 한중 생물체 분류사는, 다시 인물분류사, 동물분류사, 식물분류사로 구분할 수 있다. 제3장 ‘한∙중 생물체 분류사의 의미’에서는 2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선정된 한(42개)․중(60개) 생물체 분류사 총 102개를 대상으로 의미특성을 밝혔다. 특히, 인물, 동물, 식물과 관련된 분류사를 [/개체성], [/집합성]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한중 인물 분류사는 서로 공통적인 의미특성도 지니지만 한국어의 경우 개체분류사 중 경칭이나 비칭에 따른 사용이 많은 반면 중국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집합 분류사들이 많이 사용되는 등의 차이점도 있다.(표18, 표19) 한중 동물 분류사 측면에서는 한국어 동물 분류사의 경우 포괄적이고 단순하여 파악하기 쉬웠지만 중국어 동물 분류사는 상대적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나 그 기준의 모호성으로 실제 응용에서는 혼란스러울 수 있었다.(표25, 표26) 마지막으로 한중 식물 분류사 경우도 지시 대상의 상태나 종류의 관련 정도 등에 선택이 유동적인 것은 공통적이나 그 용법에는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표32, 표33) 그리고 제4장에서는 3장의 의미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한·중 분류사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그 특징을 크게 일대일 대응, 일대다 대응, 무대응의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일대일 대응은 한중 생물체 분류사가 의미와 기능면에서 서로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인데 이 경우 비교적 상호 학습이나 이해가 쉬울 수 있다.(표37) 둘째는 일대다 대응인데 이것은 다시 일(韓) 대 다(中) 대응인 경우(표53)와 일(中) 대 다(韓)인 경우(표65)로 나누어진다. 이는 해당 분류사가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특징적으로 의미와 기능이 확대되어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는 무대응인 경우인데 이는 상대 언어에 없기 때문에 관련된 의미와 기능을 전적으로 별도로 학습해야 한다.(표66, 표67) 제5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종합하여 정리하고, 본 연구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