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신경정신학적 장애는 간질을 가진 소아가 성장 과정 중 흔히 경험하게 되는 질환이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최근에야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질 분류 및 환자들의 ...
목적: 신경정신학적 장애는 간질을 가진 소아가 성장 과정 중 흔히 경험하게 되는 질환이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최근에야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질 분류 및 환자들의 임상 특성에 따른 신경정신학적 검사 소견을 분석하여 간질과 신경정신학적 장애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6세 에서 16세의 소아에서 새롭게 진단된 간질 환자 중, 기저 뇌 병변이 없으며, 지능 지수 70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아동용 개인 지능 검사와 전산화 종합 주의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을 간질 분류, 발작 횟수, 간질파의 위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등의 임상적 특성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각 군의 지능과 주의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149명 중, 70명은 특발성 전신 간질, 46명은 국소 관련성 특발성 간질, 33명은 중심-관자 극파를 동반한 양성 소아 간질로 분류되었다. 국소 관련성 특발성 간질 환자에서는 간질파의 위치에 따라 단순 선택 주의력(시각, 청각), 그리고 분할 주의력 영역의 결과가 차이를 보였고 경련 횟수에 따라 지능 지수의 전 영역에서 차이가 관찰되었다. 특발성 전신 간질 환자에서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동반 여부에 따라 억제 지속 주의력, 간섭 선택 주의력, 그리고 작업 기억력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중심-관자 극파를 동반한 양성 소아 간질 환자에서는 ADHD 동반 여부에 따라 단순 선택 주의력(청각), 그리고 억제 지속 주의력의 차이를 보였으며, 경련 횟수에 따른 비교에서 분할 주의력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신경정신학적 장애는 간질 분류에 따른 임상적 특성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각 환자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는 근거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Children with epilepsy may have neuropsychiatric impairments during their lifetime as a comorbid condition. However, they have only recently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
Background: Children with epilepsy may have neuropsychiatric impairments during their lifetime as a comorbid condition. However, they have only recently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ffect neuropsychiatric outcomes in each epilepsy classifications.
Methods: Children from single tertiary center, aged 6-16 years with newly diagnosed idiopathic epilepsy were recruited.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pilepsy types.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Wes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and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was conducted. Patients were classified as 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IGE), localization-related Epilepsy (LRE), and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BCECTS) and further divided depending on their foci of epileptiform discharges, total seizure numbers, and the presence of ADHD.
Results: A total of 149 children were enrolled in the study. Seventy patients were diagnosed as IGE, 46 as LRE, and 33 as BCECTS. Children with L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and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and spatial working memory in relation to laterality of epileptiform discharges. Lower IQ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numbers of the total seizure count in LRE group. In children with IGE, sustained attention, flanker test, and spatial working memo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lation to the presence of ADHD. In children with BCECTS, the presence of ADHD was rel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and sustained attention and increased total seizure numbers was rel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scores of divided attention.
Conclusion: Patients with idiopathic childhood epilepsy show different types of neuropsychiatric impairment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Proper characterization of these neuropsychiatric impairments can offer a chance of precise interventions at early disease cours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